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뉴 래너크

뉴 래너크

영국 스코틀랜드 스트래스클라이드주 클라이드강에 있는 마을. 영국의 공상적 사회주의자 로버트 오언(Robert Owen)이 1799년부터 1829년까지 이곳에서 경영한 방적공장을 모범 삼아 개조하여 산업공동체로 만들었다. 200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에딘버러와 글래스고 근교의 클라이드강에 있는 뉴래너크는 18세기 스코틀랜드의 아름다운 경관 속에 형성된 작은 마을로 래너크로부터 2.2km 떨어져 있다. 로버트 오언의 장인 데이비드 데일(David Dale)이 1786년에 클라이드강의 수력발전을 이용하기 위하여 방적공장과 근로자들을 위한 숙소를 세웠다.  로버트 오언은 맨체스터에서 목면방사공장(木綿紡絲工場)을 창설하고, 1794∼1795년에 콜턴연사회사(撚絲會社)를 경영했으며, 이에 성공하자 1799년 장인이 세운 뉴래너크 공장을 매입하여, 공동경영자와 함께 인도주의에 입각한 이상적인 공장경영을 시도하였다. 그는 당시의 이윤추구만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경영 풍조를 비판하고, 노동조건의 개선과 함께 세계 최초의 유치원(1816년 설립)을 비롯하여 협동조합 등 근로자의 복지후생 시설을 만들어 생산능률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1829년 공동경영자와의 분쟁으로 뉴래너크에서 손을 떼었다. 뉴래너크는 시설이 잘된 근로자 숙소 건설이 근로자의 육체적 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을 고취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방적공장은 1968년까지 운영되었고 1975년 마을 붕괴를 막기 위한 뉴래너크보존트러스트(New Lanark Conservation Trust)가 창설된 덕에

오크로시카

오크로시카

잘게 썬 야채와 삶은 고기, 달걀, 크바스 등을 첨가하여 만든 차가운 수프로, 러시아의 요리이다. 야채, 고기, 달걀, 크바스를 첨가하여 만든 차가운 수프로 여름에 즐겨 먹는 음식이다. 러시아에서 유래한 요리이나 유럽 동부에서도 즐겨 먹는다. 이때 '오크로시카(Окро́шка)'는 러시아어로 ‘작은 조각’을 의미하는 ‘크로시카(крошка)’에서 파생된 명칭이다. 초기에는 크바스(kvas)에 다진 검정무와 양파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기에 감자, 오이 등 다른 야채들이 추가되고 요리에 쓰이고 남은 고기 조각을 첨가하기도 하였다. 요리에는 사워크림을 곁들여 내는 것이 일반적이며 감자, 오이, 무, 순무, 루타바가, 양파 등의 야채를 주로 사용한다. 오크로시카는 크게 야채로 만든것과, 고기를 넣어 만든것, 생선을 넣은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고기로 만든 오크로시카에는 야채 이외에도 조리된 고기 혹은 햄이나 소시지를 넣어 만든다. 다만 가금류는 사용하지 않는다. 생선 오크로시카는 야채 외에 전통적으로 소금에 절인 생선이나 훈제 생선을 넣고 만드는데, 특히 청어나 고등어가 자주 사용된다. 전통적인 오크로시카는 시큼한 맛이 나는 크바스를 드레싱으로 사용하며, 그밖에 케피르, 맥주, 드라이 사이더(dry cider), 버터밀크, 유청이 사용되기도 한다.  조리법

피레네산맥-몽페르뒤산

피레네산맥-몽페르뒤산

피레네 산맥 중앙에 위치한 산악지형으로 프랑스와 스페인 두 나라에 걸쳐 있다. 다양한 동식물군과 고산지대 고유종의 서식지로 유명하다. 산악지대 특유의 자연 풍경과 남부유럽의 전통 이동목축(移動牧畜)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것을 인정받아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네스코에 의해 1997년 총 30,697ha에 이르는 피레네 산맥(Pyrenees) 중앙 지역이세계유산(World Heritage Site)으로 선정되었다. 이 후 1999년 그 범위가 31,189ha로 확대되었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이 지역은 프랑스와 스페인 두 나라 국경 사이에 걸쳐 있는 곳으로 스페인의 ‘오르데사-몬테 페르디도 국립공원(Ordesa y Monte Perdido National Park, 1918년 설립)’ 전체와  프랑스의 ‘피레네 서부 국립공원(Pyrénées Occidentales National Park, 1967년 설립)'의 동쪽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석회암(石灰巖) 단층지괴(斷層地塊)인 이 지역에는 크고 깊은 계곡들과 인상적인 빙하 침식 지형인 권곡(圈谷, cirque)이 있다. 또한 호수, 폭포, 동굴, 숲 등이 산비탈을 따라 펼쳐져 있다. 지형학적으로 이 지역의 지형은 크게 3개로 나뉘는데 북쪽의 권곡(圈谷)과 계곡 지대, 20km 이상 뻗어있는 경사 급한 석회암지대(높이 3000m이상), 남쪽에 사암(砂巖)과 편암(片巖)으로 이루어진 고원지대(高原地帶)가 그것이다. 이러한 산악지형의 독특한 환경은 이 지역에 뛰어난 자연 풍경을 만들어 주었고 그것은 세계자연유산(Natural World Heritage Site)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는데 큰 역할을 했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국군파월

국군파월

한국이 베트남전쟁에 국군을 파병한 일(1964년~1973년). 배경 1954년 제네바극동평화회의(제네바 회담)로 베트남은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과 베트남공화국(남베트남)으로 분단되었다. 또한 베트남은 통일을 위하여 1955년 남·북베트남 대표의 협의를 거쳐 1956년 통일선거를 실시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그사이 응오딘지엠(Ngo Dinh Diem)이 남베트남의 정권을 장악하고 통일선거의 실시를 거부하였다. 한편 미국은 공산주의 국가인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날 가능성이 높은 통일선거의 시행을 달가워하지 않았고, 통일선거를 거부한 응오딘지엠 정권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행동은 베트남이 공산화될 경우,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까지 연달아 공산화될 것이라는 ‘도미노이론’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응오딘지엠 정권이 실정을 거듭하자 1960년 남베트남에는 베트남민족해방전선(NFL)이 결성되어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아 남베트남과 교전하기 시작하였다. 응오딘지엠은 미국에 지원을 요청하였고, 미국은 남베트남의 개혁을 요구하며 1962년까지 약 11,000명의 비전투 요원을 파견하였다. 응오딘지엠은 미국의 개혁 요구를 거부하며 정권 강화에 몰두하였고, 결국 1963년 미국의 묵인으로 벌어진 쿠데타로 사망하였다. 그러나 남베트남의 정치적 혼란은 계속되었고, 1964년 8월 미국은 통킹만 사건(Gulf of Tonkin Incident)을 구실로 북베트남에 폭격을 개시하였다. 미국이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것이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