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마리 퀴리

마리 퀴리

프랑스의 물리학자·화학자. 남편과 함께 방사능 연구를 하여 최초의 방사성 원소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하였으며, 이 발견은 방사성 물질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새 방사성 원소를 탐구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1867년 폴란드의 바르샤바에서 출생했다. 결혼 전 이름은 스쿼도프스카(Maria Skłodowska)이다. 당시 폴란드는 분할 지배하에 있었는데, 바르샤바는 러시아령이었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제정 러시아의 압정(壓政)을 겪으며 자랐다. 아버지는 김나지움의 수학 및 물리학 교사였다. 10세 때 어머니를 잃고 17세 무렵부터 가정교사 등을 하면서 독학하였다. 당시 폴란드와 독일에서는 여자가 대학에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에 그녀는 파리로 유학을 결심, 1891년 파리의 소르본 대학에 입학하였다. J. H. 푸앵카레, G. 리프만 등의 강의를 들었으며, 수학·물리학을 전공하였고 가장 뛰어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1895년 피에르 퀴리와 결혼하여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였으며, 남편과 공동으로 연구 생활을 시작하였다. 당시 물리학에서는 새로운 사상(事象)이 잇달아 발견된 시기였는데, 뢴트겐의 X선 발견, H. 베크렐의 우라늄 방사능 발견에 자극받아 퀴리 부부도 방사능 연구에 착수하였다. 먼저 베크렐의 추시부터 시작했는데 부부는 방사능의 세기를 측정하는 데에 전기적 방법(피에르가 발견한 압전기의 이용)을 사용했다. 그것은 방사선의 정량적 측정법으로서 베크렐의 사진법(寫眞法)보다 편리한 것이었다. 토륨도 우라늄과 마찬가지의 방사선을 방사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방사능(放射能;radioactivity)'이라 명명하였다. 또한 방사능이 원자

아도보

아도보

고기나 생선, 야채를 식초, 간장 등에 마리네이드하여 구워낸 뒤, 마리네이드하였던 소스에 다시 조려낸 필리핀의 요리이자 이러한 요리 방법 자체를 의미한다. 고기나 생선, 야채를 식초, 간장 등에 마리네이드하여 구워낸 뒤, 마리네이드하였던 소스에 다시 조려낸 필리핀의 요리이자 이러한 요리 방법 자체를 의미한다. 따뜻한 기후의 필리핀에서 원주민들이 식품 보존을 위해 식초의 산과 간장의 염분을 활용한 필리핀의 고유한 요리방법이었으며 지금도 인기있는 요리이기도 하다. 아도보라는 명칭은 16세기 스페인 식민지 시절, 필리핀의 토착 요리법이 스페인의 아도보(adobo)와 유사하게 식초를 사용한다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여기서 스페인의 아도보는 마리네이드이자 소스로 식초, 소금, 마늘, 오레가노, 파프리카로 만들어지며, 필리핀의 아도보와 같은 이름을 쓰지만, 그 재료와 맛에서 차이를 보인다. 필리핀의 아도보는 전통적으로 질그릇(clay pot)에 조리되었으나 오늘날에는 흔히 금속 냄비나 웍(wok)에서 조리된다. 필리핀의 아도보는 각종 고기나 생선, 야채 등 다양한 재료를 식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데, 그 중 닭고기로 만든 아도보와 돼지고기로 만든 아도보가 가장 대중적이다. 이때 닭고기로 만든 아도보는 ‘아도봉 마녹(Adobong manok)’이라 하고, 돼지고기로 만든 아도보는 ‘아도봉 바보이(Adobong baboy)’, 소고기로 만든 아도보는 ‘아도봉 바카(Adobong

백자

백자

순백색의 바탕흙[胎土] 위에 투명한 유약(釉藥)을 씌워서 번조(燔造)한 자기.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가 만들어졌으며, 그 수법은 계속 이어져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백자는 무늬를 표현하는 수법, 물감(안료)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순백자(純白瓷) 그릇 표면을 싸고 있는 유약과 색조 및 그릇을 형성하는 선이 순백자의 생명이다. 순백자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고려시대 백자의 계통을 이은 것으로 부드러운 곡선의 기형(器型)을 이루고, 유약은 투명하여 바탕흙과 유약이 밀착되지 않아 유약이 떨어지는 수가 있다. 또 하나는 원(元)나라 때부터 고려자기에 영향을 끼쳤던 유형으로 유약이 대체로 얇게 입혀져 백색으로 발색되며, 때로는 약간 청색을 띠고 있는 것도 있다. 그릇 모양은 풍만하여 양감이 있고, 유약은 은은하게 광택을 낸다. 순백자는 다른 빛깔로 장식하지 않으나, 형태 자체에 변화를 주며 부분적으로 장식물을 첨가하거나 혹은 투각(透刻)수법으로 무늬를 표현하는 수가 있으며, 표현한 종류에 따라 ① 소문백자(素文白瓷), ② 양각백자(陽刻白瓷), ③ 음각백자(陰刻白瓷), ④ 투각백자(透刻白瓷), ⑤ 상형백자(象形白瓷)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소문백자 그릇 표면에 전혀 장식 무늬가 없고 백색의 단일색으로 된 것이다. 이러한 그릇은 조선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오랫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