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 광양자설, 브라운운동의 이론, 특수상대성이론을 연구하여 1905년 발표하였으며, 1916년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였다. 미국의 원자폭탄 연구인 맨해튼계획의 시초를 이루었으며, 통일장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다.
1879년 3월 14일 독일 바덴 뷔르템베르크 주의 울름에서 유대인으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는 평범한 사업가였으며 가족들은 유대교 의식에 얽매이지 않았다. 어린시절 판에 박힌 학습과 교육방식을 경멸하여 무례한 행동이 잦았다고 전해진다. 청소년기에 수학과 물리학에 취미를 가졌고 아라우(Aarau)에 있는 주립학교로 진학하여 과학수업에 심취했다. 이 시기를 그의 일생에서 가장 잊지 못할 인상을 남겼다고 회고했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 낙방하였다가 재수를 하여물리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에서는 고전 물리학에 염증을 느끼고 루드비히 볼츠만,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등 이론 물리학자들의 저서를 탐독하며 혼자서 공부하기를 즐겼다. 1901년 대학을 졸업하고, 교사가 되고자 하였지만 자리를 얻지 못해 베른 특허국의 관리 자리를 얻어 5년간 근무하였다. 1903년 대학 동창이자 공동연구자 였던 밀레바 마릭(Mileva Maric)과 결혼하였고 15년 후 이혼하게 된다. 특허국 직원으로 일하면서 발명품을 검사하지 않을 때에는 항상 물리학을 연구했다. 1905년 빛이 에너지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광양자설, 물질이 원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브라운운동의 이론, 물리적 시공간에 대한 기존 입장을 완전히 뒤엎은 특수상대성이론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때 발표된 논문들은 단 8주만에 작성된 것이지만 그동안의 인식을 전환시킨

남프릭

남프릭

칠리 고추, 피시소스나 까삐, 마늘, 양파, 라임 주스를 첨가하여 만든 매운맛의 타이 소스이다. 칠리 고추, 피시소스 혹은 까삐 등을 섞어서 만든 타이의 매운 소스이다. 타이 요리에서 흔히 활용되는 전형적인 소스이며 가정에서도 직접 만들어 먹는다. 타이어로 ‘남(น้ำ)’은 물, 즙, 액을 뜻하고, ‘프릭(พริก)’은 고추를 뜻한다. 주로 걸쭉한 페이스트의 형태를 띠지만, 액체와 같은 형태이거나 거의 건조된 형태를 띠기도 한다. 이 소스는 전통적으로 절구를 활용하여 재료를 으깨어 만든다. 남프릭은 신선한 야채나 삶은 채소, 생선 요리, 육류 요리, 가금류 요리, 쌀밥과 함께 먹으며, 샐러드 드레싱, 수프, 커리 소스, 튀김 요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남프릭은 기본 재료에 어떤 재료를 넣느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변용을 만들 수 있다. 남프릭까삐(น้ำพริกกะปิ)은 가장 널리 알려진 남프릭 종류로 새우를 소금에 첨가하여 발효시킨 장인 까삐(กะปิ)를 첨가하여 만든 소스를 말한다. 남프릭쁠라라(น้ำพริกปลาร้า)는 타이의 피시소스인 쁠라라(ปลาร้า)를 첨가하여 만든 소스를 말하며, 남프릭눔(น้ำพริกหนุ่ม)은 프릭눔(พริกหนุ่ม)으로도 불리는 밝은 연두색에 길쭉하고 큰 크기를 가진 타이의 칠리 고추인 눔(หนุ่ม)을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 그 밖에도 남프릭롱르아(น้ำพริกลงเรือ)는 튀긴 남프릭을, 남프릭파오

박물관섬

박물관섬

독일 베를린에 있는 슈프레 섬의 북쪽 부분으로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다섯 곳의 박물관이 이곳에 위치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독일 베를린의 역사지구에 포함되어 있는 슈프레 섬(Spreeinsel)의 북쪽 끝을 지칭하며 이곳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섯 개의 박물관들이 자리하고 있다. '박물관 섬'이라는 뜻의 독일어 뮤제움스인젤(Museumsinsel)로 불리며 1999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 곳 섬에 박물관이 들어서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으로, 첫 번째 박물관인 알테스뮤제움(Altes Museum)은 1797년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Friedrich Wilhelm II.)가 고고학자이자 미술 교수였던 알로이스 히르트(Aloys Hirt)의 제안을 수락하면서 설립이 결정되었으며, 카를 프리드리히 슁켈(Karl Friedrich Schinkel)의 설계로 1823년부터 1830년에 걸쳐 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졌다. 로마의 판테온 신전을 연상케 하는 웅장한 외관이 인상적인 알테스뮤제움에는 베를린 시에서 보유하고 있는 그리스 로마 시대 유물들과 고예술품들이 보관되어 있다. 세계대전 당시 건물이 불타는 등 큰 피해를 입었으나 1966년에 복구되었다. 알테스뮤제움의 북쪽에는 노이에스뮤제움(Neues Museum)이 있다. 알테스뮤제움을 건축한 슁켈의 제자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슈튈러(Friedrich August Stüler)의 설계로 1843년에 지어지기 시작하여 1855년에 완

슬라이드 바로가기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1919년 중국 상하이[上海]에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기관.
3·1운동 직후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임시정부수립이 당면과제로 부각되자 국내외의 독립운동가 29명은 1919년 4월 10일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租界)에서 3·1운동의 민주주의 이념과 민족자주정신을 이어받아 임시의정원을 구성하였다. 임시의정원은 초대 의정원 의장에 이동녕(李東寧), 부의장에 손정도(孫貞道)를 선출하고 이승만(李承晩)을 국무총리로 하는 국무원(國務院)을 구성하였다.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본법인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하였다. 4월 25일에는 임시의정원법을 의결하고, 9월 11일 대한 민국임시정부헌법을 확정 공포하였다. 의정원은 각 지방인민의 대표위원으로 조직되며, 의원의 자격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중등교육을 받은 만 23세 이상의 남녀에 한하였다. 의원의 수는 인구 30만 명에 의원 1명을 선정하되 경기도 6명, 충청도 6명, 경상도 6명, 전라도 6명, 강원도 3명, 함경도 6명, 황해도 3명, 평안도 6명, 중국령 교민 6명, 러시아령 교민 6명, 미국령 교민 3명 등 총 57명으로 정하고 선출 방법은 각 구역 내에 의정원의원 임시선거회를 조직하여 무기명 단기투표로 선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임시정부의 독립운동가가 각 선거구의 원적지(原籍地)에 따라서 선거권을 대행하였고, 의원 정원수도 미달되는 경우가 많아 10여 명 안팎인 때도 있었다. 의원은 면책특권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