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이탈리아의 탐험가. 에스파냐 여왕 이사벨의 후원을 받아 인도를 찾아 항해를 떠나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등을 발견했다. 그의 서인도 항로 발견으로 아메리카대륙은 유럽인들의 활동 무대가 되었고, 에스파냐가 주축이 된 신대륙 식민지 경영도 시작되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라는 이름은 영어식 표기이며 실제 그의 이름이 이렇게 불렸을 가능성은 없다. 이탈리아명은 크리스토포로 콜롬보(Cristoforo Colombo)이다. 이탈리아 제노바 출생하였고 1477년에 리스본에 나타날 때까지의 행적은 명백하지 않지만 상당한 학식을 지녔으며, 일찍부터 항해에 종사하였다고 전해진다. 1479년 결혼하였는데, 그의 장인이 선장이었기 때문에 해도제작(海圖製作)에 종사하였다. 이 무렵에 그는 수학자 P.토스카넬리에게서 지도(地圖)를 구해 연구한 결과 서쪽으로 항해하여도 인도에 도달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1484년 포르투갈 왕 주앙 2세에게 대서양 항해탐험을 헌책(獻策)하였으나 희망봉 루트를 준비 중이던 왕은 그의 제안을 거절하였다. 1486년 콜럼버스는 에스파냐로 건너가 후원자를 찾았다. 그는 에스파냐 카스티야 왕조의 이사벨 여왕을 만나 그의 대담한 항해계획을 설명하였고 지원을 요청하였다. 하지만 왕실에서 거절하여 그의 항해계획이 또 실패하였다. 그는 영국, 포르투갈, 프랑스에 재차 후원을 요청하였다가 번번이 거절만 당하였다. 그의 집요한 노력으로 에스파냐의 후원을 받아내었다. 에스파냐는 카스티야와 아라곤으로 구분되어 있어, 카스티야 여왕 이사벨 1세와 아라곤 왕 페르난도

소파 데 랑고스티노스

소파 데 랑고스티노스

새우, 토마토 등을 첨가하여 끓여낸 스페인의 수프 요리이다. 새우, 토마토를 주재료로 만든 수프이다. 스페인의 요리로, 이때 스페인어로 ‘소파(sopa)’는 수프를, ‘랑고스티노(Langostino)’는 스페인어로 ‘새우(prawn), 왕새우(king prawn)’를 의미한다. 안달루시아 지방과 같은 바다에 인접한 지역에서 즐겨먹는 요리이다.  조리법 주재료 중 하나인 토마토는 통조림으로 나온 토마토 퓌레나 토마토 소스를 활용하여도 좋다. 새우는 머리와 껍질을 분리한다. 머리와 껍질은 오븐 트레이에 넣어 120℃로 예열한 오븐에 넣어 약 20분간 구워낸다. 새우살은 찬물에 담가 냉장고에 넣어 놓는다. 리크나 파, 당근, 셀러리, 회향은 깨끗이 씻어 큼직하게 썰어 놓는다. 냄비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구운 새우 껍질과 머리, 야채를 넣어 익히다가, 토마토퓌레, 브랜디를 넣어 끓인다. 여기에 화이트 와인, 물을 첨가하고 뚜껑을 덮어 약 30분간 졸인다. 육수를 또 다른 냄비에 부어 끓이다가 여기에 다진 고추를 넣는다. 여기에 크림, 소금, 후추, 훈제한 파프리카 가루를 넣는다. 수프가 너무 묽으면 옥수수 전분을 추가하여도 좋다. 소금 후추로 수프를 간한 뒤, 여기에 새우를 첨가하여 끓인다. 완성된 수프는 그릇에 덜어 먹으며, 가니쉬로 잘게 다진 딜을 뿌린다. 여기에 신선한 흰 빵을 곁들여도 좋다. 영양정보 주재료인 새우에는 타우린이

베른 옛 시가지

베른 옛 시가지

스위스의 수도 베른에 있는 중세의 옛 시가지로 1983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스위스의 수도이자 베른주의 주도(州都)인 베른에 조성된 중세의 구시가지를 가리킨다. 12세기에 아레강(Aare River)으로 둘러싸인 언덕 위에 건설되어 수세기에 걸쳐 발전해온 곳으로 지금까지도 중세의 분위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198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지정된 면적은 8만 4684㏊이다. 구시가지는 아레강이 둥글게 휘돌아가는 곳에 위치하여 동·남·북쪽의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여러 개의 다리로 강 건너의 신시가지와 연결된다. 베른은 원래 1191년 체링겐(Zähringen) 가문의 베르히톨트 공작 5세 (Duke Berchtold V)가 자신의 권력 중심지인 니데크 요새(Fort Nydegg)를 도심으로 하여 건설하였으며, 1218년 체링겐 가문이 단절되자 자유도시가 되면서 서쪽의 차이트글로헨투름(Zeitglochenturm)으로 도심을 확장하였다. 사부아(Savoy)의 보호국으로 있던 1255~1265년 사이에 도시는 서쪽의 베른 감옥탑(Käfigturm)까지 확장되었다. 1270년에는 니데크 요새를 허물고 남부 구역을 건설하였으며, 14세기에 마지막으로 확장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후 1848년 스위스의 수도가 되었으며, 1919년 서쪽으로 도시를 확장하여 신시가지를 건설하였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동의보감

동의보감

1610년(광해군 2) 허준(許浚, 1546∼1615)이 저술한 의학서적으로, 1613년(광해군 5) 내의원(內醫院)에서 허준의 《동의보감》을 훈련도감자(訓鍊都監字)로 찍어내었다.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개주갑인자본, 25권 25책이다. 1596년(선조 29) 왕명에 의해 내의원(內醫院)에 편찬국을 두고 허준·양예수(楊禮壽)·이명원(李命源)·정작(鄭碏)·김응탁(金應鐸)·정예남(鄭禮男) 등이 한(漢)나라 때에 체계화를 이룬 한의학을 중심으로 동방의학의 총집성과 더불어 민족의학을 정립시키는 대역사(大役事)에 착수하였다. 착수 1년 후 정유재란(丁酉再亂)으로 일시 중단되는 곡절이 있었지만, 허준은 이를 자신의 일생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결심하고 집념으로 저술에 임하였다.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실증적 학구의 자세와 명민한 관찰력 그리고 고전에 대한 해박한 학식을 토대로 풍부한 임상경험을 살려 기본학리가 임상에 직결되기까지 일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의술의 구체화를 이룩하였다. 그 결과 14년 후인 1610년(광해군 2) 8월 6일 마침내 25권이라는 방대한 의서가 완성되었고, 《동의보감》이라 이름하여 1613년 11월에 개주갑인자로 인쇄, 간행되었다. 감교관(監校官)은 내의원 직장(直長) 이희헌(李希憲), 부봉사(副奉事) 윤지미(尹知微)였으며, 서문은 이정구(李廷龜)가 썼다. 이 책에 인용된 의서(醫書)는 조선 세종(世宗:재위 1418∼1450) 때의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의방유취(醫方類聚)》와 선조 때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비롯해 중국의 한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