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잔 다르크

잔 다르크

15세기 전반에 영국의 백년전쟁 후기에 프랑스를 위기에서 구한 영웅적인 소녀이다. 1429년의 “프랑스를 구하라”는 신의 음성을 듣고 고향을 떠나 샤를 황태자(뒷날의 샤를 7세)를 도왔다. 가톨릭의 성녀(聖女). 로렌과 샹파뉴 사이에 있는 동레미라퓌셀의 독실한 그리스도교 가정인 농가에서 태어났다. 1429년의 어느 날 “프랑스를 구하라”는 신의 음성을 듣고 고향을 떠나 서쪽으로 가서 루아르 강변의 시농성(城)에 있는 샤를 황태자(뒷날의 샤를 7세)를 방문하였다. 당시의 프랑스는 북반부를 영국군 및 영국에 협력하는 부르고뉴파(派) 군대가 점령하고 있었고, 프랑스의 왕위도 1420년의 트루아의 조약에 따라 샤를 6세 사후에는 영국왕 헨리 5세가, 또 그의 사후에는 그의 아들 헨리 6세가 계승하도록 되어 있어, 황태자 샤를은 제외되어 있는 형편이었다. 잔 다르크는 샤를을 격려하고 그에게서 받은 군사를 이끌고 나가, 영국군의 포위 속에서 저항하고 있던 오를레앙 구원에 앞장서서 싸웠다. 영국군을 격파하여 오를레앙을 해방시킨 데 이어 각지에서 영국군을 무찔렀다. 흰 갑주에 흰 옷을 입고 선두에 서서 지휘하는 잔 다르크의 모습만 보고도 영국군은 도망갔다고 전해진다. 이리하여 그 해 5월 상순, 영국군은 오를레앙에서 완전히 패퇴하였다. 랭스까지 진격한 잔 다르크는 이곳 성당에서 전통적인 전례에 따라 샤를 7세의 대관식(戴冠式)을 거행토록 하였다. 이에 샤를 7세는 영국의 헨리 6세에 앞서 왕위를 계승하였는데, 잔 다르크에 대한 왕의 측근들의 질시와 선망 속에서도 잔 다르크는 더욱 충성을 하였다. 1430년

카놈똠

카놈똠

쌀가루 반죽 안에 코코넛과 팜 슈거, 코코넛 밀크를 한데 졸인 속을 첨가하여 데친 뒤 겉면에 잘게 썬 코코넛을 묻혀낸 디저트로, 타이의 전통적이고 인기 있는 요리이다. 쌀가루 반죽 안에 코코넛, 팜 슈거, 코코넛 밀크를 졸여 만든 속을 넣고 둥글게 빚어 데쳐낸 것이다. 타이의 전통 디저트로, 수코타이 시대부터 존재했다. 카놈똠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볼 수 있는데, 노점상은 물론 시장이나 가게에서도 판매되며 파티나 행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타이어로 ‘카놈(ขนม)’은 과자, 디저트를 의미하며, ‘똠(ต้ม)’은 끓이다, 익히다, 삶다는 뜻을 갖는다. 카놈똠은 다운 판단, 자색 고구마, 고구마 등을 활용하여 초록색이나 보라색, 노란색 등 다채로운 색으로 반죽을 만들 수 있는데, 보통 다운 판단 추출물을 첨가하여 만든다. 요리의 겉면에는 잘게 썬 코코넛을 묻혀 먹는다. 조리법 코코넛을 잘게 갈아 준비한다. 팬에 간 코코넛, 잘게 부순 팜 슈거, 설탕, 물을 넣고 잘 섞어 졸인다. 완성된 속은 식혀 놓고, 볼에 쌀가루, 코코넛 밀크를 담고 원하는 색상의 추출물을 넣는다. 예를 들어 초록색을 내고 싶을 때는 다운 판단 추출물을, 보라색을 내고 싶을 때는 찐 자색 고구마를, 오렌지색을 내고 싶을 때는 진한 색의 찐 고구마 등을 활용한다.  색이 균일해질 때까지 반죽한 후에, 작고 둥근 공 모양으로 만든다. 그

박물관섬

박물관섬

독일 베를린에 있는 슈프레 섬의 북쪽 부분으로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다섯 곳의 박물관이 이곳에 위치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독일 베를린의 역사지구에 포함되어 있는 슈프레 섬(Spreeinsel)의 북쪽 끝을 지칭하며 이곳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섯 개의 박물관들이 자리하고 있다. '박물관 섬'이라는 뜻의 독일어 뮤제움스인젤(Museumsinsel)로 불리며 1999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 곳 섬에 박물관이 들어서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으로, 첫 번째 박물관인 알테스뮤제움(Altes Museum)은 1797년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Friedrich Wilhelm II.)가 고고학자이자 미술 교수였던 알로이스 히르트(Aloys Hirt)의 제안을 수락하면서 설립이 결정되었으며, 카를 프리드리히 슁켈(Karl Friedrich Schinkel)의 설계로 1823년부터 1830년에 걸쳐 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졌다. 로마의 판테온 신전을 연상케 하는 웅장한 외관이 인상적인 알테스뮤제움에는 베를린 시에서 보유하고 있는 그리스 로마 시대 유물들과 고예술품들이 보관되어 있다. 세계대전 당시 건물이 불타는 등 큰 피해를 입었으나 1966년에 복구되었다. 알테스뮤제움의 북쪽에는 노이에스뮤제움(Neues Museum)이 있다. 알테스뮤제움을 건축한 슁켈의 제자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슈튈러(Friedrich August Stüler)의 설계로 1843년에 지어지기 시작하여 1855년에 완

슬라이드 바로가기
제중원

제중원

조선 말기인 1885년 서울 재동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 1885년(고종 22) 4월에 조선 정부가 미국인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1932)의 건의를 받아 설립한 서양의학 병원이다. 정확한 설립 날짜는 확인되지 않으나 《조선왕조실록》에는 1885년 4월 14일(음력 2월 29일)에 고종이 혜민서(惠民署)와 활인서(活人署)를 대신할 의료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정부의 건의를 받아 설치를 허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 의정부가 건의할 때의 명칭은 광혜원(廣惠院, Widespread Relief House)이었으나 설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명칭을 제중원(濟衆院)으로 바꾸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4월 26일(음력 3월 12일)에 광혜원을 제중원으로 개칭했다고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이 보고했으며, 5월 4일(음력 3월 20일)에는 예전 혜민서와 활인서에 주던 비용을 새로 설치된 제중원으로 옮겨 배정하자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건의를 고종이 승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중원은 외아문(外衙門)이라고도 불리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산하의 독립기구로 설립되었으며,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에는 내무아문(內務衙門)의 산하 기구가 되었다. 초기에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독판(督辦)인 김윤식(金允植)이 그 설립과 운영을 관장했으며, 환자 진료는 미국 북장로회 소속의 선교사이자 의사인 알렌이 담당했다. 알렌은 1884년 9월 미국 공사관의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