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더글러스 맥아더

더글러스 맥아더

태평양전쟁 미군 최고사령관.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진주만을 기습한 일본을 공격하여 1945년 8월 일본을 항복시키고 일본점령군 최고사령관이 되었다. 6·25전쟁 때는 UN군 최고사령관으로 부임하여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하였다. 하지만 중공군과 전면전을 두고 트루먼 대통령과 갈등을 빚어 해임되었고 '노병은 죽지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1880년 미국 아칸소(Arkansas) 주(州)의 리틀록(Little Rock)에서 출생하였으며 그의 집안은 스코틀랜드계였다. 그의 할아버지 아서 맥아더는 미국 남북전쟁 당시 북군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고 이후 판사가 되었다. 아버지 아서 맥아더 2세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벌어진 미국-스페인 전쟁에 참전하여 승리했고 이후 필리핀 반군과 전투를 벌여 무공을 세웠다. 그의 아버지는 필리핀 군정장관을 역임하며 미국 군부에서 명망이 높았다. 어머니는 미국 남부의 명문가 출신이며 이름은 핑키 맥아더(Mary Pinkney Hardy)이다.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학업에 매우 열성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들 더글러스 맥아더가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자 근처 호텔에 머물며 아들이 공부하는 것을 지켜보았다고 전해진다. 그의 형 맥아더 아서 3세도 군인이었으며 미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구축함 함장으로 복무하다 1923년 12월 맹장염으로 사망하였다. 더글러스 맥아더는 1893년 텍사스군사학교(Texas Military Institute)를 입학하였고 1899년 웨스트포인트사관학교를 입학하여 1903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그해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육군 공병대에 배속되었으며 그의 아버지가 근무했던 필리핀 제3공병대대로 파

코시도 마드리예노

코시도 마드리예노

병아리콩을 주재료로 하여 돼지고기, 감자 등을 첨가하여 뭉근하게 끓인 스튜로, 스페인 마드리드의 전통적인 요리이다. 병아리콩, 돼지고기, 야채 등을 첨가하여 뭉근하게 끓여낸 스페인의 스튜이다. 이때 스페인어로 ‘코시도(cocido)’는 고기와 야채를 넣어 만든 전골 요리를, ‘마드리예노(madrileno)’는 ‘마드리드 태생의’를 의미한다. 코시도 마드리예노는 주재료인 병아리콩 이외에 돼지고기, 돼지 뼈, 초리조, 하몽 세라노, 모르시야(morcilla; 선지와 양파, 향신료, 쌀 등을 첨가하여 만든 소시지로 스페인에서 매우 인기 있는 소시지), 소의 정강이, 늙은 암탉 등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 야채로는 감자, 양파, 마늘, 리크, 양배추, 당근, 순무, 그린 빈, 카르둔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역사 마드리드의 전통적인 요리로 그 기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세시대 세파르디 유대인이 안식일에 먹는 스튜 요리인 아다피나(adafina)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아다피나는 병아리콩을 주재료로 하여 달걀, 야채, 닭고기, 소고기 등을 첨가하여 뭉근하게 끓여낸 요리이다. 아다피나는 1478년 종교재판 이후, 가톨릭 신자로 개종한 유대인들이 개종을 증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돼지고기를 재료로 한 햄, 베이컨, 모르시야 등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는데, 이렇게 변형된 아다피나가 이후 코시노 마드리예노가

그라나다-알람브라, 헤네랄리페, 알바이신

그라나다-알람브라, 헤네랄리페, 알바이신

스페인의 그라나다에 있는 중세 도시의 유적으로서 198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1994년 지정 범위가 확장되었다. 스페인(에스파냐) 남부에 위치한 안달루시아 자치지방의 그라나다주에 있는 중세 도시의 유적이다. 안달루시아 지역은 이슬람 국가의 지배를 받아 아랍과 유럽 문화가 공존하며, 그중에서도 그라나다는 무어인(Moors)들이 그라나다왕국(1238∼1492)을 세워 아랍문화를 꽃피운 곳이다. 18세기에 한때 폐허가 되었던 이 지역은 1832년 미국의 작가이자 외교관인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이 쓴 《알람브라 이야기 Tales of the Alhambra》가 출간되면서 국제적으로 주목을 끌게 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복원되어 1943년 스페인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으로 등재된 뒤 1994년에 지정 범위가 확장되었다. 지정된 문화유산은 알람브라궁전(Alhambra) 지역과 알바이신(Albayzín) 주거지구를 중심으로 한다. 아랍어로 '붉은색'을 뜻하는 알람브라는 그라나다를 한눈에 내려다보는 해발 740m의 구릉지대에 자리잡고 있으며, 본래 군사 요새로 건설되었다가 이슬람 왕실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알람브라궁전은 1238년 나스르왕조를 세운 무하마드 이븐 알 아마르(Muhammad ibn al Ahmar)가 건설하기 시작하여 여러 대에 걸쳐 증축 및 개수되었으며, 14세기 유수프 1세(Yusuf I)와 그의 아들 모하메드 5세(M

슬라이드 바로가기
윤극영

윤극영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 교동보통학교를 졸업한 후(1917), 경성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학교 전신)를 졸업하였다(1920). 그 후 아버지의 권유로 경성법전에 들어갔으나 적성에 맞지 않아 중퇴하고, 일본의 ‘도쿄음악학교’로 유학을 가서 작곡과 성악을 공부하였다. 도쿄 유학 시절에 홍난파, 방정환 등을 만나 교유하고 인생의 큰 전환점을 맞았다. 소파 방정환을 만나 우리 민족 어린이들이 일본 노래만 불러 장래가 어둡고 불쌍하다는 말을 듣고 민족 어린이들을 위해 일할 것을 다짐하였다. 1923년 5월 1일 방정환을 중심으로 색동회>를 조직하고 ‘어린이’(‘작은이’보다 어린이가 좋다고 판단)라는 용어를 정식 사용하고 어린이 날을 제정하였다. (색동회 발기인 : 방정환, 윤극영, 진장섭, 조재호, 손진태, 정병기, 정순철) 1923년 9월 1일 일본 도쿄에서 관동대진재(關東大震災) 당시 한국인에 대한 학살이 확산되자 귀국하였다. 부친의 도움으로 자택에 ‘일성당(一聲堂)'이라는 음악공부방을 만들어 음악 공부를 계속하면서 어린이들을 모아 음악을 가르쳤다. 이들을 모아 ‘다알리아회(합창단)'를 조직하여(1924. 8) 음악을 확산시켰다. 1924년 어린이들이 설날에 일본 음악을 듣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설날>을 작사 작곡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동요라 할 수 있는 <반달>을 작사 작곡하여(1924. 9) 확산시킨 결과 큰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