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세계무역기구

세계무역기구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체제를 대신하여 세계무역질서를 세우고 UR(Uruguay Round of Multinational Trade Negotiation:우루과이라운드) 협정의 이행을 감시하는 국제기구.
1986년에 시작된 UR 협상은 1947년에 설립되어 세계무역질서를 이끌어온 GATT 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 체제를 다자간 무역기구로 발전시키는 작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후 7년 반에 걸친 논의 끝에 1994년 4월 모로코의 마라케시에서 개최한 UR 각료회의에서 마라케시선언을 채택하였고 UR 최종의정서, WTO 설립협정, 정부조달협정 등에 서명하였다. 다음해인 1995년 1월 1일 WTO가 공식 출범하였다. 주로 UR 협정의 사법부 역할을 맡아 국가간 경제분쟁에 대한 판결권과 그 판결의 강제집행권이 있으며 규범에 따라 국가간 분쟁이나 마찰을 조정한다. 또 GATT에 없던 세계무역분쟁 조정, 관세인하 요구, 반덤핑 규제 등 준사법적 권한과 구속력을 행사한다. 게다가 과거 GATT의 기능을 강화하여 서비스, 지적재산권 등 새로운 교역과제를 포괄하고 회원국의 무역관련법·제도·관행 등을 제고하여 세계 교역을 증진하는 데 역점을 둔다. 의사결정 방식도 GATT의 만장일치 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수결원칙을 도입하였다. 조직에는 총회·각료회의·무역위원회·사무국 등이 있으며 그밖에 분쟁해결기구와 무역정책검토기구가 있다. 분쟁해결기구는 법적 구속력과 감시기능을 갖추고 무역 관련 분쟁을 담당하며 무역정책검토기구는 각국 무역정책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정책을 투명하게 운영하도록 하고 사전에 분쟁을 예방하여 다자간 무역체제의

나시르막

나시르막

쌀에 코코넛 밀크, 판단 잎을 첨가하여 지은 밥에 삶은 달걀, 볶은 땅콩, 볶은 멸치, 삼발(sambal) 등을 곁들여낸 음식으로,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코코넛 밀크와 다운 판단을 넣어 지은 밥에 다섯 가지 이하의 반찬을 곁들여낸 음식으로,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말레이어로 ‘나시(nasi)’는 쌀밥을, ‘르막(lemak)’은 기름이나 지방을 뜻하는 것으로 요리에 사용된 코코넛 밀크를 의미한다. 20세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음식으로, 보통 아침식사로 즐겨 먹으나 점심이나 저녁으로 먹기도 한다. 과거에는 바나나 잎으로 포장하여 길거리에서만 판매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노점에서부터 일반 식당, 고급 레스토랑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인기있는 음식이 되었다. 2009년에는 말레이시아 문화예술유산통일부에서 발표한 국가유산에 포함되었다.  나시르막에 곁들여내는 반찬은 다섯 가지 이하로 준비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볶은 멸치, 볶은 땅콩, 오이, 삶은 달걀 혹은 달걀 프라이, 삼발이 사용되며, 그밖에 오징어, 튀긴 생선, 렌당(Rendang) 등을 곁들이기도 한다.  나시르막은 문화권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는 특징을 갖는데, 중국계 말레이시아 문화에서는 코코넛 밀크 없이 밥을 지어 돼지고기 반찬을 곁들여 먹고 중국계 싱가포르 문화에서는 닭튀김이나 소시지, 햄, 어묵 등을 곁들여 나시르막을 먹으며, 인도계 말레이시아 문화권에서는 보통 일반적

베른 옛 시가지

베른 옛 시가지

스위스의 수도 베른에 있는 중세의 옛 시가지로 1983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스위스의 수도이자 베른주의 주도(州都)인 베른에 조성된 중세의 구시가지를 가리킨다. 12세기에 아레강(Aare River)으로 둘러싸인 언덕 위에 건설되어 수세기에 걸쳐 발전해온 곳으로 지금까지도 중세의 분위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198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지정된 면적은 8만 4684㏊이다. 구시가지는 아레강이 둥글게 휘돌아가는 곳에 위치하여 동·남·북쪽의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여러 개의 다리로 강 건너의 신시가지와 연결된다. 베른은 원래 1191년 체링겐(Zähringen) 가문의 베르히톨트 공작 5세 (Duke Berchtold V)가 자신의 권력 중심지인 니데크 요새(Fort Nydegg)를 도심으로 하여 건설하였으며, 1218년 체링겐 가문이 단절되자 자유도시가 되면서 서쪽의 차이트글로헨투름(Zeitglochenturm)으로 도심을 확장하였다. 사부아(Savoy)의 보호국으로 있던 1255~1265년 사이에 도시는 서쪽의 베른 감옥탑(Käfigturm)까지 확장되었다. 1270년에는 니데크 요새를 허물고 남부 구역을 건설하였으며, 14세기에 마지막으로 확장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후 1848년 스위스의 수도가 되었으며, 1919년 서쪽으로 도시를 확장하여 신시가지를 건설하였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곡우

곡우

24절기 중 6번째로, 봄의 마지막 절기이다. 음력 3월 중이며 봄비가 백곡(百穀)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이다. 조기잡이가 성하고 나무에 물이 오르는 시기로, 한 해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청명(淸明)과 입하(立夏)의 중간인 4월 20일경에 든다. 봄의 마지막 절기로, 음력으로는 3월중(三月中)이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0°에 있을 때이다.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해진다는 뜻이며, 이때가 되면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하기 위해 볍씨를 담그는데, 부정한 일을 했거나 본 사람이 볍씨를 보지 못하도록 솔가지로 볍씨 담근 가마니를 덮어둔다.서해에서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 떼가 북상해 충청남도 격렬비열도(格列飛列島) 근처까지 올라와 조기잡이로 북적거리기 시작한다. 이때 잡히는 조기를 특별히 ‘곡우살이’라 하여, 살은 적지만 연하고 맛이 좋아 상품으로 친다.또한 이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여서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강원도 등에서는 깊은 산속으로 곡우 물을 먹으러 가는 풍속이 있다. 자작나무·박달나무·산다래나무 등에 상처를 내고 통을 달아 며칠씩 수액을 받아두었다가 마시는데, 몸에 좋다고 하여 약수로 마시기도 한다.지리산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곡우에 약수제를 지내고, 조정에서 파견된 제관이 지리산 신령에게 다래차를 올리며 태평성대와 그해의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곡우와 관련된 말로 ‘곡우에 가뭄이 들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는 속담이 있는데, 봄비가 잘 내리는 시기에 내리지 않으니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뜻이다.[24절기] [표]24절기 (항목 편집 시, 수정·삭제 금지)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