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시모노세키조약

시모노세키조약

청·일전쟁의 전후처리를 위해 1895년 4월 17일 청국과 일본이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체결한 강화조약. 조약의 배경 1894년 5월(고종 31) 조선은 동학농민운동(동학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청에 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에 일본은 톈진조약[天津條約]을 구실로 조선에 군대를 파병하였고, 청과 일본은 조선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대립하였다. 1894년 5월 7일 조선은 동학농민군과 전주 화약에 합의하여 동학농민운동을 일단 진정시켰다. 그리고 청과 일본에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에 개혁이 필요하며, 동학농민운동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이를 거부하였다. 조선 역시 개혁은 일본의 철수 이후에 진행될 것이라며 반박하였다. 그러자 일본은 7월 23일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하고 대원군을 섭정으로 내세웠다. 또한 김홍집(金弘集)을 중심으로 하는 내각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7월 25일 선전포고 없이 아산 앞바다의 풍도(豊島)에 주둔하던 청 해군을 기습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청일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7월 29일에는 성환(成歡), 9월 15~17일에 평양(平壤), 9월 17일 압록강 어귀 해양도 앞바다에서 청의 북양함대(北洋艦隊)와 일본 해군이 충돌하여 일본이 승리하였다. 10월에 일본은 만주로 진격하여 청의 금주성(錦州城), 11월에 여순(旅順)을 점령하였고, 1895년 1월 산둥성(山東省)의 위해위(威海衛)를 무너뜨려 북양함대를 궤멸시켰다. 조약의 체결 청은 미국의 중재로 일본과의 강화협상에 나섰으나, 일본은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과 수도원 건물들,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과 수도원 건물들,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있는 역사 유적지이다. 성 소피아 성당, 페체르스카야 수도원 등 중요한 건축물이 남아있다. 1990년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고, 2005년 범위를 확장하였다.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에 있는 도시로 옛 시가지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적들이 남아있다. 1037년에 건립된 성 소피아 대성당은 중세 러시아를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비잔틴 양식으로 세워진 후, 1685∼1707년 바로크 양식으로 개축하였다. 내부는 프레스코화와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다. 18세기 후반 세운 종루는 바로크 양식에 우크라이나 전통 양식이 더해져 독특하게 장식되었다.  페체르스카야 수도원은 고지대의 동굴 수도원이다. 근동굴(近洞窟) 수도원과 원동굴(遠洞窟) 수도원으로 나누어져 있다. 11세기 중엽 드니프로강 기슭 언덕 동굴에서 수행을 시작한 수도사들이 만든 동굴로, 좁은 통로로 동굴끼리 이어진다. 몽골과 타타르족의 침입으로 크게 파손되었으며,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축되었다. 18세기 초에 높이 6.5m의 종탑이 건설되었다.  수도원 입구에는 12세기 초에 건설된 트로이츠카야 성당이 있다.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정비되었으며, 18세기 우크라이나의 바로크 양식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평가받는다. 페체르스카야 수도원에서 가장 오래된 우스펜스키 성당은 중세 러시아와 비잔틴 양식이 섞여있다. 1926년에 ‘소비에트 연방 역사 문화 보호구’로 지정되었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어재연

어재연

조선 후기의 무장으로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강화도 광성진을 수비한 명장이다.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우(性于)이다. 아버지는 어용인(魚用仁)이다. 1841년(헌종 7) 무과에 급제하여 1864년(고종 1) 장단부사를 거쳐 1866년에 공충도(公忠道)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이해 로즈(Rose) 제독이 강화도를 침략하는 병인양요가 발생하자 병사를 이끌고 광성진(廣城鎭)을 수비하였다. 이후 회령부사(會寧府使)로 부임하였다가 1871년(고종 8) 2월 도총관·금위영 중군에 임명되었고, 이해 미군이 강화도를 침략하는 신미양요가 발생하자 삼군부(三軍府)에서 순무중군(巡撫中軍)으로 추천하여 강화도에 급파되었다. 6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광성진에서 배수진을 치고 수비하던 그는 6월 11일 덕진진을 함락한 미군의 총공세에 맞서 고군분투하였다. 수륙양면작전을 전개하는 미군을 맞아 야포사격을 전개하다가 육박전에 돌입하여서는 끝까지 물러서지 않고 싸우다가 장열하게 전사하였다. 황현의 《매천야록》에는 ‘칼을 들고 싸우다가 칼이 부러지자 납으로 된 탄환을 적에게 던지며 싸웠으며, 적의 창에 난자되고 머리를 베어갔다’고 적고 있어 당시의 참혹한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조정에서는 병조판서 겸 삼군부지사(三軍府知事)에 추증하고, 그와 함께 백의종군한 아우 어재순(魚在淳)에게는 이조참의를 추증하였다. 시호는 충장이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