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다윈 생물진화론을 정하여 뜻을 세운 영국의 생물학자이다. 해군측량선 비글호에 박물학자로서 승선하여, 남아메리카·남태평양의 여러 섬과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항해·탐사했고 그 관찰기록을 《비글호 항해기》로 출판하여 진화론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1859년에 진화론에 관한 자료를 정리한 《종(種)의 기원(起原)》이라는 저작을 통해 진화사상을 공개 발표하였다. 생물진화론의 정립에 공헌하였다. 슈루스베리의 의사 로버트 다윈의 아들이며, 에라스머스 다윈의 손자로 태어났다. 1825년 에든버러대학에 입학하여 의학을 배웠으나 성격에 맞지 않아 중퇴하였다. 1828년 케임브리지대학으로 전학하여 신학을 공부하였다. 어릴 때부터 동식물에 관심을 가졌고, 케임브리지대학의 식물학 교수 J.헨슬로와 친교를 맺어 그 분야의 지도를 받았다. 1831년 22세 때 헨슬로의 권고로 해군측량선 비글호에 박물학자로서 승선하여, 남아메리카 ·남태평양의 여러 섬(특히 갈라파고스제도)과 오스트레일리아 등지를 두루 항해 ·탐사하고 1836년에 귀국하였다. 그 동안에 널리 동식물의 상(相)이나 지질(地質) 등을 조사하여 후에 진화론을 제창하는 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모았다. 특히 갈라파고스제도에서의 관찰, 즉 다른 환경의 섬과 거기에서 생활하는 같은 계통의 생물에서 볼 수 있는 사소한 변이(變異)와의 관련은, 다윈으로 하여금 진화사상의 심증을 굳히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또, C.라이엘의 《지질학 원리》도 큰 영향을 주었다. 1839년 《비글호 항해기 Journal of the Voyage of the Beagle》를 출판하여, 여행 중의 관찰기록을 발표하면서 진화론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또한 지질학상의 문제, 산호초의 생성원인의 연구에 착수하였다. 1842년에는 건강 때문에 켄트주(州)에 은거하여 진화론에 관한 자료를
부럼 음력 정월 보름날 아침에 까먹는 잣 ·날밤 ·호두 ·은행 ·땅콩 등의 견과류 또는 견과류를 먹는 풍속을 일컫는 말이다. 대개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문다. 여러 번 깨물지 말고 한 번에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하여 한번 깨문 것은 껍질을 벗겨 먹거나 첫번째 것은 마당에 버리기도 한다. 깨물면서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기원한다. 이렇게 하면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으며, 이가 단단해진다고 한다. 보름날의 부럼을 위해서 14일 밤에는 미리 과실을 준비해 두고, 땅속에 묻은 밤을 꺼내어 깨끗이 씻어 놓는다.
그라나다-알람브라, 헤네랄리페, 알바이신 스페인의 그라나다에 있는 중세 도시의 유적으로서 198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1994년 지정 범위가 확장되었다. 스페인(에스파냐) 남부에 위치한 안달루시아 자치지방의 그라나다주에 있는 중세 도시의 유적이다. 안달루시아 지역은 이슬람 국가의 지배를 받아 아랍과 유럽 문화가 공존하며, 그중에서도 그라나다는 무어인(Moors)들이 그라나다왕국(1238∼1492)을 세워 아랍문화를 꽃피운 곳이다. 18세기에 한때 폐허가 되었던 이 지역은 1832년 미국의 작가이자 외교관인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이 쓴 《알람브라 이야기 Tales of the Alhambra》가 출간되면서 국제적으로 주목을 끌게 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복원되어 1943년 스페인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으로 등재된 뒤 1994년에 지정 범위가 확장되었다. 지정된 문화유산은 알람브라궁전(Alhambra) 지역과 알바이신(Albayzín) 주거지구를 중심으로 한다. 아랍어로 '붉은색'을 뜻하는 알람브라는 그라나다를 한눈에 내려다보는 해발 740m의 구릉지대에 자리잡고 있으며, 본래 군사 요새로 건설되었다가 이슬람 왕실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알람브라궁전은 1238년 나스르왕조를 세운 무하마드 이븐 알 아마르(Muhammad ibn al Ahmar)가 건설하기 시작하여 여러 대에 걸쳐 증축 및 개수되었으며, 14세기 유수프 1세(Yusuf I)와 그의 아들 모하메드 5세(M
대보름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음력 1월 15일을 말한다. 대보름날은 우리 민족의 밝음사상을 반영한 명절로 다채로운 민속이 전한다. 중국에서는 이 날을 상원(上元)이라 하는데 도교적인 명칭으로 천관(天官)이 복을 내리는 날이라 한다. 여기에 중원인 7월 15일, 하원인 10월 15일을 합하여 삼원이라 부른다. 이 밖에도 원소절(元宵節), 원석(元夕)이라 하며, 일본에서는 소정월(小正月)이라 하여 공휴일로 정해 명절로 삼고 있다.대보름날의 각종 풍속은 전체 세시풍속 중 1/4이 넘을 정도로 풍부한데 설 풍속을 합치면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이것은 정초와 대보름 명절이 우리 민속에서 중요한 비중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이들은 상호 유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월중에 많은 세시행사가 모여 있다. 정월에 드는 설과 대보름은 상호보완적으로 설날이 개인적 ·폐쇄적 ·수직적이고, 피붙이의 명절임에 반해 대보름은 개방적 ·집단적 ·수평적 ·적극적인 마을공동체 명절로 두 관념이 교차하며 달의 생성과 소멸주기에 따라 긴장과 이완, 어둠과 밝음, 나에서 우리로 교체 ·확장되는 일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한국의 명절 중 정월 대보름의 예축의례와 상대적인 명절로 수확의례인 8월 한가위의 보름 역시 만월을 통한 풍요관념을 보여준다.대보름은 상징적인 측면에서 달 ·여성 ·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에 의한 명절로 달은 곧 물의 여신이므로 대보름과 농경문화는 밀접하다. 땅과 달을 여성으로 여긴 것은 오랫동안 전해온 지모신(地
참여백과 칠곡신문 칠곡신문 명명덕(明明德)은 인간이 타고난 맑고 착한 본성(明德))을 밝힌>다는 뜻입니다. 사서삼경(四書三經)의 하나인 『대학(大學)』의 종... 하대현대아파트 경상남도 진주시 하대동 한국국제대 부지 이설민간특례사업으로 현대건설사가 시공하는 공동주택으로 진주시의 첫 번째 현대그룹 브랜드 아파트 단지... 하대현대아파트 경상남도 진주시 하대동 한국국제대 부지 이설민간특례사업으로 현대건설사가 시공하는 공동주택으로 진주시의 첫 번째 현대그룹 브랜드 아파트 단지...
최신항목 보기 미크로네시아의 외교 미크로네시아 연방(FSM)은 독립 이후 92개국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태평양 이웃 국가들과도 외교적 유대를 강화하고 있다. 미크로네시아 연... 미크로네시아의 식문화 미크로네시아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코코넛, 타로, 참마, 빵나무 열매, 바나나, 감귤류를 즐겨 먹는다. 주된 육류 공급원은 생선과 해산물이며 ... 미크로네시아의 언론 및 미디어 미크로네시아의 언론 및 미디어는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이다. 인쇄 매체로는 정부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와 개인 소유의 소규모 주간 및 월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