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이란의 후제스탄주에 있는 고대도시의 유적으로,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후제스탄주의 주도인 아바즈의 북쪽으로 110㎞ 지점에 있는 고대도시 유적을 가리킨다. 수사는 그리스식 명칭이며, 지금의 슈시(Shush) 지역에 해당한다. 기원전 2700년경에서 기원전 539년까지 존속하였던 엘람왕국과 아케메네스 왕조의 페르시아제국 및 파르티아 등 지금은 대부분 사라져버린 문화 전통에 관한 특별한 증거를 보여주는 유적으로서 2015년 이란의 18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지정된 면적은 350㏊이며, 주변의 완충지역(buffer zone) 면적은 600㏊이다. 수사는 카르케흐(Karkheh) 강과 데즈(Dez) 강 사이의 자그로스산맥 남서쪽 기슭에 형성된 충적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기원전 40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하면서 신석기문화를 이룩하여 예술적인 가지무늬토기[彩文土器] 등을 남겼다. 기원전 3000년경에는 원시 엘람문자와 십진법이 발명되고 도시가 성립하였다. 지리적으로 메소포타미아에 연속되어 문화적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설형문자나 십이진법 등이 채용되었다. 기원전 647년 아시리아의 아슈르바니팔 왕과의 전투에서 패해 도시가 파괴되었으며, 기원전 539년에는 아케메네스 왕조가 수사를 점령하면서 엘람왕국도 멸망하였다. 아케메네스왕조의 다리우스 1세는 수
까주 까틀리 간 캐슈넛을 카르다몸 등을 첨가하여 만든 설탕 시럽에 넣어 굳힌 디저트로, 인도의 전통적인 단과자이다. 간 캐슈넛, 설탕 등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다이아몬드 모양의 인도 전통 디저트이다. 인도의 단과자를 의미하는 미타이(Mithai)에 해당하며 ‘카주 바피(Kaju barfi)’라고도 한다. 인도 전역에서 즐겨먹으나 남부의 케랄라주, 타밀나두주, 서부의 고아주, 구자라트주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 북부 지역에서는 주재료인 캐슈넛 대신 아몬드를 활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까주 까틀리는 인도의 과자점에서 구매할 수 있지만, 전통적으로는 디왈리 축제에서 활용되는 음식이다. 인도 북부 지역에서는 디왈리 축제 동안 까주 까틀리를 친구와 친족들에게 선물하는 문화가 있으며, 손님에게 환대하는 의미로 전달되는 경우도 많다. 디저트 표면은 식용 은박으로 포장하여 판매한다. 조리법 캐슈넛을 기름을 두르지 않고 볶은 다음, 블랜더에 넣어 고운 가루가 되도록 갈아준다. 냄비에 설탕과 물을 넣어 끓여 설탕 시럽을 만들고 여기에 캐슈넛 가루를 넣고 젓는다. 시럽이 걸쭉한 상태가 되면 기(ghee), 로즈 워터, 카르다몸 파우더를 넣고 섞는다. 불을 끄고 시럽을 살짝 식히고 작업대에 부어 반죽한다. 내용물을 밀대로 밀어 납작하게 만든 뒤, 완전히 식힌다. 이것을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잘라 까주 카틀리를 완성한다. 완성된 요리는 필요에 따라
우베다·바에사의 르네상스 기념물군 스페인의 남부 지방 하엔 주의 두 도시 우베다와 바에자에 위치한 세계유산이다. 두 도시 모두 중세 동안 무어인의 도시로 발달했으며, 이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아 다시 한번 크게 성장하였다. 긴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16세기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진 건축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200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스페인의 남부 지방인 안달루시아 자치지구(Autonomous Community of Andalusia)의 하엔 주(Province of Jaen)에 자리 잡고 있다. 정확한 위치는 하엔 주의 두 도시 우베다(Ubeda)와 바에자(Baeza)이다. 스페인 남부 도시 우베다와 바에자는 9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형성되었다. 9세기에는 이슬람교도인 무어인(Moor)들에 의해 도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13세기 이슬람교도들을 상대로 기독교 국가들이 벌인 전쟁이 빈번했던 레콩키스타(Reconquista, 국토회복운동) 시기에는 거의 완전한 도시 구조를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16세기에는 유럽에 크게 유행했던 르네상스의 흐름을 타고 두 도시 모두 대대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탈리아의 인문주의 사고방식이 에스파냐(스페인)까지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처럼 비슷한 역사와 외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베다와 바에자는 에스파냐의 쌍둥이 도시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16세기 두 도시에는 르네상스 양식의 건축물들이 많이 지어졌다. 하지만 그것은 이탈리아 본토의 르네상스 양식과는 차이가 있었다. 에스파냐 문화와 뒤섞인 새로운 르네상스 양식이 탄생했던 것이다. 이후 이 새로운 에스파냐
세종 조선왕조 제4대 왕(재위 1418~1450).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여 이상적 유교정치를 구현하였다. 세종대에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측우기와 같은 과학 기구가 제작되는 등 백성들의 생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문화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이고, 시호는 장헌[莊憲, 정식 명칭은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이다. 태종과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셋째 아들로, 비(妃)는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1413년(태종 13)에 대군이 되었다. 1418년(태종 18)에 왕세자에 책봉되어 같은 해 8월에 22세의 나이로 태종으로부터 왕위를 양위 받아 즉위하였다. 양위 이후 태종은 4년간 상왕으로 생존하여 어려운 일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참여백과 칠곡신문 칠곡신문 명명덕(明明德)은 인간이 타고난 맑고 착한 본성(明德))을 밝힌>다는 뜻입니다. 사서삼경(四書三經)의 하나인 『대학(大學)』의 종... 하대현대아파트 경상남도 진주시 하대동 한국국제대 부지 이설민간특례사업으로 현대건설사가 시공하는 공동주택으로 진주시의 첫 번째 현대그룹 브랜드 아파트 단지... 하대현대아파트 경상남도 진주시 하대동 한국국제대 부지 이설민간특례사업으로 현대건설사가 시공하는 공동주택으로 진주시의 첫 번째 현대그룹 브랜드 아파트 단지...
최신항목 보기 박두원 대한민국의 군인. 6·25전쟁에 재일학도의용군으로 자원입대해 전투기로 총 89회 출격하며 많은 공훈을 세웠다. 1952년 작전을 수행하던 중 전사하였다... 이성덕 대한민국의 군인. 6‧25전쟁에 참전하였으며 백마고지(395고지) 전투 중 전사하였다. 1929년 1월 20일 평안남도에서 출생하였다. 1951년 7월 육... 감비아의 유럽인과의 해후 및 식민... 포르투갈 사람들은 15세기 중반에 배를 타고 감비아강 유역에 도달했고 해외무역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1588년 포르투갈인들이 세운 크라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