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

1789년 7월 14일부터 1794년 7월 28일에 걸쳐 일어난 프랑스의 시민혁명. 프랑스혁명은 사상혁명으로서 시민혁명의 전형이다. 여기서 시민혁명은 부르주아혁명(계급으로서의 시민혁명)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국민이 자유로운 개인으로서 자기를 확립하고 평등한 권리를 보유하기 위하여 일어선 혁명이라는 보다 넓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혁명의 이념은 계몽사상가인 몽테스키외, 볼테르, 루소, 디드로 등에 의해 약 반세기에 걸쳐 배양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루소의 문명에 대한 격렬한 비판과 인민주권론이 혁명사상의 기초가 되었다. 프랑스왕권은 루이 14세(재위 1643∼1715)가 완성한 절대주의 체제에 의해서 여전히 국왕친정과 신권이론(神權理論)을 받들고 국가와 인민 위에 군림을 계속하였다. 신권왕정 밑에서는 모든 국민이 단순히 국왕의 신하에 불과하다. 그 위에 소수의 귀족·성직자들만이 별도의 특권신분을 구성하고, 국민의 90%를 차지한 평민층의 근로와 납세에 기생하면서 우아하고 무위한 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모순은 처음부터 누구의 눈에도 명백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루이 16세(재위 1774∼92)의 정부는 미국독립혁명을 지원한 군사비 때문에 재정궁핍에 빠졌다. 재정총감 칼론은 1787년 2월에 명사회(名士會)를 소집하고, 특권신분에게도 과세하는 ‘임시지조(臨時地租)’를 제안하였다. 이에 대항하여 귀족·성직자들은 국왕을 뒷받침하던 사법관료의 핵심인 파리 고등법원과 결탁하고 고등법원

에조겔린 초르바스

에조겔린 초르바스

불구르(bulgur)에 레드 렌틸콩, 쌀, 토마토, 각종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끓인 수프로, 튀르키예의 인기 있는 요리이며 라마단에 먹는다. 불구르와 레드 렌틸콩을 주재료로 하여 끓여낸 튀르키예의 수프이다. 불구르(bulgur)는 곡식을 으깨어 반쯤 데친 뒤 말린 것으로 중동 요리에서 유래한 식재료이다. 튀르키예 남동부 지역에서 유래하였으며, 오늘날에도 매우 인기있는 특선 요리이다. 튀르키예어로 ‘에조겔린(Ezogelin)’은 신부 에조(Ezo the bride)를 뜻하며, ‘초르바스(Çorbası)’는 수프를 뜻한다. 겨울철 에피타이저로 즐겨 먹으며, 라마단에 먹는 음식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요리는 실존 인물인 에조(Ezo)라는 여성과 연관이 있다. 20세기 초 시리아 국경 부근의 가지안테프에서 자란 에조는 무척 아름다운 외모로 유명하였다. 그녀는 스무 살의 나이에 결혼하며 시리아로 이주하였고 이후 고향에 대한 향수와 빈곤으로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이 수프는 에조가 그녀의 새로운 가족을 위해 만든 첫 요리라고 하며, 그녀가 얼마 남지 않은 식재료를 활용하여 발명한 요리로 전해 내려온다. 조리법 더치오븐에 쌀과 불구르, 레드 렌틸콩, 슬라이스한 양파, 야채 육수를 넣고 뚜껑을 덮은 뒤 약 30분간 중불에서 끓인다. 핸드 블랜더로 내용물을 거칠게 갈

입춘

입춘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 음력으로 정월의 절기이고, 양력으로 2월 4일 경이다. 태양이 황경 315˚에 왔을 때를 일컬으며, 동양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 한다. 입춘 전날을 철의 마지막이라는 '절분(節分)'이라 하며, 이날 밤을 '해넘이'라 불렀다. 따라서 입춘을 마치 연초(年初)처럼 본다. 양력 2월 4일경, 태양이 시황경 315°에 왔을 때를 입춘 입기일로 하여 이후 약 15일간이 입춘기간에 해당한다. 음력으로는 정월의 절기로, 동양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고는 하지만 추위는 아직도 강하다. 입춘 전날이 '절분'인데, 이것은 철의 마지막이라는 뜻이다. 이날 밤을 '해넘이'라 부르고, 이때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귀신을 쫓고 새해를 맞는다고 한다.따라서 입춘을 마치 연초(年初)처럼 본다. 최근에도 행해지는 입춘의 풍습으로는 종이에 입춘을 송축하는 글을 써서 대문에 붙이는 일이다. 보통은 '입춘대길(立春大吉: 입춘에 크게 길하다)'이라고 적어 대문에 붙이며 이를 '입춘첩(立春帖)' 또는 '입춘축(立春祝)'이라고 불렀다. 옛날에는 설날이 되면 대궐에서 신하들이 연상시(延祥詩)를 지어 올렸는데 이때 잘 지어진 글을 기둥이나 난간에 붙였고, 이것을 춘첩자(春帖子)'라고 불렀다. 이것이 전래되어 양반집과 민가나 상가의 대문과 기둥에 글귀를 붙이는 풍습이 생겼다. 또한 입춘에는 한해의 액운(厄運)을 물리치고 재수(財數)를 기원하는굿을 하기도 하는데 이를 '입춘굿'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글귀로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시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