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제임스 와트

제임스 와트

영국의 기계기술자. 팽창작동 ·복동기관 ·유성기어장치의 회전기관 ·평행운동 ·보일러의 매연방지장치 ·원심조속기 ·압력계 등의 발명과 마력의 단위에 의한 동력의 측정 등이 주요한 업적이다. 목수의 아들로 태어나 소년시절을 아버지 일터에서 보내는 동안 수세공(手細工)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래머 스쿨을 마친 뒤, 1755년 런던으로 가 수학기계공 견습이 되었고, 1757년 글래스고대학 수학기계공으로 임명되었다. 1763년 최초 발명인 투시화법기(透視畵法器)를 만들어 낼 때까지 J.블랙, J.로벅 등의 과학자들과 교류하였다. 1764년 와트는 대학으로부터 뉴커먼 배수기관(排水機關) 모형의 수리를 의뢰받았다. 이 기관의 열효율이 좋지 못한 점을 발견하고 1765년 콘덴서를 분리하는 착상을 하였다. 이 착상을 로벅이 구체화하려고 하였으나 피스톤의 패킹 문제에 부딪쳐 개발은 진전되지 못했다. 동료인 크레이그가 죽자, 1767년~1774년까지 스코틀랜드 운하측량사(運河測量師)로서 일하였다. 1768년 버밍엄의 업자 M.볼턴을 알게 되었고, 1769년 로벅의 원조를 받아 증기기관에 관한 최초의 특허를 받았다. 와트는 이 특허에서 기관의 열효율을 증가시키는 진전을 이루었다. 1773년 로벅이 파산하자 1774년 볼턴이 와트기관의 특허 소유권을 획득하였다. 1775년 볼턴은 와트의 특허권을 25년간 연장함으로써 버밍엄에 공장을 경영, 볼턴과 와트의 유명한 공동사업 ‘볼턴-와트 상회’가 문을 열게 되었다. 그들 최초기관은 1776년 운전을 개시하였으나, 실용화되기까지는

부리드

부리드

생선과 감자, 양파, 리크 등의 야채와 아이올리 등을 첨가하여 끓여낸 따듯한 수프 요리로, 프랑스의 랑그도크와 프로방스 지역에서 유래한 음식이다. 생선, 야채, 아이올리를 첨가하여 끓여낸 수프 요리로, 프랑스 남부의 옛 랑그도크와 프로방스 지역에서 유래하였다. 마르세유에서 기원한 프랑스의 어패류 요리인 부야베스와 유사한 요리로도 알려져 있으나, 부야베스와 달리 부리드에는 아이올리가 첨가되어 수프의 농도를 조절하고 요리의 노란 빛깔을 만들어낸다. 부리드는 멀릿(Mullet; 숭어과의 어류), 고등어, 농어, 아귀(monkfish), 대구와 같은 흰살 생선을 활용한 음식으로 생선의 뼈로 만든 스톡에 생선, 야채, 아이올리 등을 첨가하여 끓여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때 취향에 따라 생선과 함께 조개류, 갑각류의 해산물을 첨가하기도 한다. 조리법 큰 냄비에 올리브유를 두른 뒤 생선뼈와 양파, 리크, 파슬리, 타임, 월계수 잎, 후추, 회향씨를 첨가하여 잘 볶아준다. 여기에 화이트 와인을 첨가하여 약 5분간 끓여주다 물을 첨가하여 40분간 졸인다. 기름은 제거하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 뒤 육수를 걸러 피시스톡을 만든다. 믹싱볼에 마늘, 달걀 노른자, 디종 머스터드, 레몬 주스, 프랑스 원산의 고춧가루인 피멍 데스플레트(Piment d'espelette, Espelette pepper)를 첨가하여

쇤브룬 궁전과 정원

쇤브룬 궁전과 정원

함부르크 제국의 황제가 거주하던 성이며 건축가 요한 베른하르트 피셔 폰 에를라흐와 니콜라우스 파카시가 설계하였다. 1996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오스트리아 수도 빈의 남서쪽 교외에 있는 합스부르크가의 여름 별궁으로, 합스부르크 왕조 600년의 역사를 간직한 유서 깊은 곳이다. 마리아 테레지아를 비롯한 많은 왕들이 이곳에서 정무를 보았고, 나폴레옹에게 점령당했을 때는 나폴레옹군의 사령부로 사용되기도 했다. 한 때 유럽을 호령했던 왕가의 사람들은 보이지 않지만, ‘아름다운 샘(Schonner Brunnen)’에서 유래한 쇤부른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빼어난 모습을 보려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건축가 요한 베른하르트 피셔 폰 에를라흐(Johann Bernhard Fischer von Erlach)가 황제의 수렵용 소궁전이 있던 자리에 1696부터 1700년 사이에 쇤부른 궁전을 처음 지었다. 이어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 때인 1744년부터 1749년 사이에 니콜라우스 파카시(Nicolaus Pacassi)의 설계에 따라 대대적인 개축이 이루어졌다. 개축 규모가 워낙 커서 애초의 모습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였다. 알력관계에 있던 이웃나라 프랑스에 국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도 다분히 있었던 터라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에 견줄 만한 화려하고 아름다운 궁전이 탄생하게 된다. 궁전은 부드러운 황색의 외벽이 인상적인 거대한 3층 건물로 방이 1441개나 된다. 바로크 양식의 건물에 화려한 로코코 양식의 실내장식을 해 전체적으로 화려하면서도 따뜻

슬라이드 바로가기
경원선

경원선

서울~원산(元山)을 잇는 철도로 길이 223.7㎞이며 1914년 9월 16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오늘날에는 국토 분단으로 용산역~백마고지역 사이의 94.4㎞만 운행되고 있다. 길이 223.7㎞이다.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 6월 17일 국내 철도용달회사(鐵道用達會社)가 서울~원산·경흥(慶興) 간의 철도 부설권을 얻었으나 자금 사정으로 착공하지 못하였다. 1905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군사상 필요성을 느낀 일본이 경의(京義) 철도와 마산포(馬山浦) 철도, 경원 군용철도 부설권을 요구하여 승인을 받았다. 1910년 국권 피탈 후 소관 부처가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총독부 철도국으로 이관되었다. 1910년 10월 서울 용산(龍山)에서, 1911년 10월 원산에서 각각 기공식이 열렸다. 1911년 10월 15일 용산~의정부 구간이 처음 개통된 후 1914년 8월 14일 세포(洗浦)~고산(高山) 구간을 마지막으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서울을 기점으로 하여 삼방(三防)·세포 부근의 해발 600m 가파른 고지를 넘어 원산에 이르는 이 철도의 완공으로 한반도의 간선철도가 X자 모양을 이루게 되었다. 이후 동해안 북부의 풍부한 자원 수송과 동서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남북 분단으로 북한측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후 용산역에서 신탄리역까지만 운행하다가 2012년 11월 20일 남한 지역의 최북단역인 백마고지역이 영업을 개시하여 용산역~백마고지역 사이의 94.4㎞를 운행하고 있다. 현재 운행하는 구간에는 용산~이촌~서빙고~한남~옥수~응봉~왕십리~청량리~회기~외대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