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

지중해와 홍해·인도양을 잇는 운하. 아시아와 아프리카 두 대륙의 경계인 이집트의 시나이반도 서쪽에 건설된 세계 최대의 운하로 지중해의 포트사이드(Port Said) 항구와 홍해의 수에즈(Suez) 항구를 연결하고 있다. 수에즈 운하는 무엇보다도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하지 않고 곧바로 아시아와 유럽이 연결되는 통로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러스트]시나이반도와 주변 지형(일러스트) (항목 편집 시, 수정·삭제 금지) 수에즈 지협에 운하를 파서 항행할 수 있게 되면 지중해와 홍해의 교통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착상은 고대부터 있었다. 운하를 건설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이집트 파라오 왕조 제 12왕조의 세누스레트 3세(Senusret III : 재위 1878 BC~1839 BC)가 홍해 연안의 투밀라트 계곡(Wadi Tumilat)을 통해 나일강과 홍해를 연결하고자 착공했던 공사로 추정된다. 그러나 공사 결과 내륙의 푼트(Punt) 지방 까지만 나일강이 연결되었을 뿐 홍해와는 연결되지 못했다. 파라오 제18왕조의 하셉수트 여왕(Hatshepsut : 재위 1479 BC~1458BC)이 푼트 지방에서부터 홍해로 이어지는 운하 공사를 시도했다는 흔적도 남아있으나 성공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에도 BC 1380년 경에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가 개착(開鑿)되었다. 그 후 이 운하는 천재(天災)와 전재(戰災)로 메워졌으나 여러 차례에 걸친 개수(改修)로

프리홀레스 차로스

프리홀레스 차로스

핀토빈, 양파, 마늘, 베이컨 등을 첨가하여 만든 멕시코의 전통 스튜이다. 핀토빈, 양파, 마늘, 베이컨 등을 첨가하여 만든 스튜이다. 멕시코의 전통적인 음식이며, 이때 핀토빈은 덩굴강낭콩의 한 종류인 멕시코 원산의 콩이다. 따듯하게 먹는 스튜로, 기본 재료로는 핀토빈 이외에 양파, 마늘, 베이컨, 고추, 토마토, 고수, 햄, 소시지, 돼지고기, 초리조 등이 있다. 조리법 먼저 건조된 핀토빈은 볼에 담고 물, 소금을 첨가한 뒤 크기가 두 배로 불어날 때까지 약 8~12시간 동안 불려 놓는다. 이때 마른 콩 대신 통조림 콩을 활용하여도 좋다. 완전히 불린 콩은 물을 버리고 씻어낸다. 베이컨, 양파는 깍둑썰기하고 세라노 고추는 씨와 줄기를 제거하여 다져 놓는다. 마늘도 다져 놓고, 불에 구운 토마토도 깍둑썰기 한다. 더치 오븐(dutch oven)에 베이컨을 넣어 볶다가 양파, 칠리를 한데 볶는다. 여기에 마늘을 넣고 빠르게 볶다가 토마토를 첨가한 뒤 잘 저어준다. 불린 핀토빈, 그 다음 치킨 스톡, 월계수잎, 소금, 에파조테(epazote: 멕시코와 과테말라 요리에 즐겨 활용되는 강한 향을 가진 허브)를 넣고 뚜껑을 덮은 뒤 콩이 부드러워질 때까지 약 45분간 끓여준다. 스튜가 걸쭉해지면 소금으로 간을 한 뒤, 월계수잎을 버리고 고수를 넣고 잘 휘저어 완성한다. 완성된 스튜는 냉장보관 시 약 1주일간 보관이 가능하다. 영양정보 주재료인 핀토

프로뱅 지역의 중세도시 상가지역

프로뱅 지역의 중세도시 상가지역

11~13세기 사이에 발달했던 중세 무역도시이자 요새 도시로 모직물 산업으로 유명했다. 중세에 만들어진 거주지 건물, 무역 창고, 종교 건축물, 요새 건축물들이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 200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일드프랑스 지방과 샹파뉴 지방 사이에 위치한 프로뱅(Provins)은 예전에는 샹파뉴 백작(Counts of Champagne)령에 속해있던 요새화된 중세도시였다. 12~13세기 동안 수 많은 상인들이 거래를 위해 머물렀던 곳으로 경제적 활기가 넘쳐났다. 이곳에서 열렸던 샹파뉴지방의 시장은 북유럽과 지중해지방을 연결시켰으며 지방 산업이었던 모직물 산업을 크게 확장 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모직물을 팔려는 플랑드르(Flanders) 상인들과 사려는 이탈리아 상인들은 이곳시장에서 만났던 것이다. 오늘날에도 11~15세기 동안 지어진 창고, 요새, 교회, 집, 성탑과 같은 중세 건축물들이 많이 남아있다. 2001년 프로뱅은 중세 주요 무역도시이자 요새도시로서의 그 가치와 훌륭한 보존 상태를 인정받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유산(World Heritage)로 선정되었다.     11세기 초 샹파뉴 백작은 그 누구보다 빨리 장거리 무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영지 내에 있던 도시들의 지리적 이점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프로뱅은 주요한 교역로들의 교차지점에 위치한 곳이었다. 따라서 이곳에서 열린 시장은 항상 성황을 이루었고 12~13세기에 가서는 유럽의 주요 무역 도시로 발전하게 된다. 지리적 이점만이 프로뱅 지방에 경제적 활기를 가져다 준 것은 아니었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을사늑약

을사늑약

1905년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압하여 체결한 조약으로, 외교권 박탈과 통감부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조약으로 대한제국은 명목상으로는 일본의 보호국이나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대한제국(大韓帝國, 이하 한국)을 강압해 체결한 조약이다. 조약문에는 제목이 없고,《조선왕조실록》에는 한일협상조약(韓日協商條約)으로 기재되어 있다. 1904년 8월 22일에 재정(財政)과 외교(外交) 부문에 일본이 추천하는 고문(顧問)을 둔다는 내용으로 체결된 ‘외국인용빙협정(外國人傭聘協定, 제1차 한일협약)’과 구분하여 ‘제2차 한일협약(第二次 韓日協約)’이라고도 불린다. ‘을사(乙巳)’라는 명칭은 1905년의 간지(干支)에서 비롯되었으며, 명목상으로 한국이 일본의 보호국(保護國)으로 되어 과거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이라고도 불렸다. 하지만 보호국이라는 지위가 사실상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화(植民地化)를 미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과 함께 조약 체결 과정의 강압성(强壓性)이 인정되어 ‘을사늑약(乙巳勒約)’이라는 명칭으로 통용된다. ‘을사조약’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리며 모두 5개의 조항으로 이루어져 ‘을사오조약(乙巳五條約)’이라고도 칭하기도 한다.이밖에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 한일 외교권 위탁 조약안(韓日外交權委託條約案) 등으로도 지칭된다. 일본에서는 일한협약(日韓協約), 한국보호조약(韓國保護條約) 등으로 부른다. 모두 5개조의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한국의 식민화를 위해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統監府)와 이사청(理事廳)을 두어 내정(內政)을 장악하는 데 있다. 을사늑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