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게티즈버그연설

게티즈버그연설

1863년 11월 19일 펜실베이니아 주 게티즈버그에서 행한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연설. 1863년 11월 19일 남북전쟁 중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펜실베이니아주 게티즈버그 국립묘지 봉헌식에서 전몰장병들을 추념하여 행한 연설이다. 연설문은 270여 단어로 구성된 짧은 연설이지만, 남북전쟁의 역사적 의미뿐 아니라 미국의 건국 정신 및 민주주의의 핵심적 의미를 가장 정확하게 요약하였다. 흔히 영어로 쓰여진 최고의 명연설로 평가된다. 역사적 배경 1863년 11월 19일 게티즈버그에 국립묘지를 설치하게 된 이유는 1863년 7월 1일부터 3일까지 남부군과 연방군이 사이에 있었던 게티즈버그 전투 때문이었다. 1863년 여름, 남부군의 로버트 리(Robert Lee) 장군은 남부를 벗어나 북부 지역인 펜실베이니아주로 진격했다. 남부군의 최정예 부대를 이끌고 북쪽 땅을 밟은 리 장군은 수도 워싱턴을 북쪽에서 공격할 계획이었다. 펜실베이니아주 게티즈버그는 작은 마을로서 군사적 요충지가 아니었다. 남부군은 이곳을 잠시 들렀다가 지나갈 작정이었다. 한편 남부군이 북쪽으로 진격해 온다는 첩보를 입수한 북부 연방군은 남부군을 찾아 게티즈버그로 향하고 있었다. 북부 연방군의 총사령관은 조지 미드(George Meade) 장군이었다. 1863년 7월 1일 북부 연방군과 남부군은 펜실베이니아 주 게티즈버그에서 우연히 마주쳤다. 양쪽을 합하여 약 17만 명에 달하는 거대한 군대가 작은 마을 게티즈버그에서 예상치 않던 전투를 벌이게 된 것이다.

엔프리홀라다스

엔프리홀라다스

옥수수 토르티야에 검은콩으로 만든 소스를 곁들여 구워낸 멕시코의 전통적인 요리이다. 옥수수 토르티야에 검은콩으로 만든 소스를 곁들여 구워낸 음식이다. 멕시코의 전통적인 요리이며, 이때 검은콩 소스는 검은콩, 치폴레 칠리가 들어간 아도보 소스(adobo sauce: 오레가노, 소금, 마늘, 커민 등을 첨가하여 만든 양념으로 라틴 아메리카 요리에서 즐겨 쓰임), 양파, 마늘, 오레가노를 첨가하여 만든다. 쉽고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요리로, 빠르게 먹을 수 있는 저녁식사로도 활용된다. 한편 멕시코 북쪽 국경지역으로 갈수로 콩 요리를 사이드 디시로 보는 경향이 있어 엔프리홀라다스를 저녁식사로 먹는 경우가 적다. 이때 토르티야 속에는 치즈을 첨가하여 말아내는 것이 보통이나 닭고기나 초리조를 넣기도 한다. 완성된 엔프리홀라다스에는 가니쉬로 아보카도, 고수, 크림 등이 곁들여진다. 조리법 검은콩은 통조림으로 준비한다. 믹서에 검은콩, 치폴레 칠리가 들어간 아도보 소스, 마늘, 소금을 첨가하여 부드러워질 때까지 갈아준다. 여기에 스톡이나 물을 첨가하여 걸쭉한 수프의 질감이 되도록 만든다. 이것을 냄비에 부어 따듯해질 때까지 끓여준다. 옥수수 토르티야를 오븐에 넣어 따듯하게 데운다. 접시에 검은콩 수프를 한 스푼 크게 떠서 올린다. 그 위에 토르티야를 올려 겉면에 소스가 묻도록 만든다. 토르티야를 뒤집은 뒤 그 위에 양파와 치즈를 올린다. 토르티야를 돌돌 말아준다. 베이킹 디시(baking dish)에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지구와 관련 기념물군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지구와 관련 기념물군

러시아의 북서부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18~19세기에 세워진 궁전, 성당, 기념비, 도로 등의 건축물이다. 다양한 바로크 양식의 집합으로 보이는 건물들과 신고전주의 양식 건축물들이 이색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다. 역사 중심지의 건물 중 상당수가 러시아 제국, 혁명 등과 관련된 유서 깊은 건물들이다. 199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유럽 동부에서 아시아 북부 지방까지 넓게 걸쳐 있는 러시아(Russia)의 세계유산(World Heritage Site)이다. 과거 러시아 제국(Russian Empire)의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에 위치해 있다.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이 도시는 한때 페트로그라드(Petrograd)나 레닌그라드(Leningrad)로 불리기도 했다. 곳곳에 산재한 기념물과 유물들로 인해 도시 전체가 하나의 유적이라 볼 수 있다.  도시는 ‘북부의 베니스(Venice of the North)’로 불릴 정도로 수많은 운하와 400여 개 이상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18세기 초 표트르 대제(Peter the Great, 1672 ~ 1725, 재위 1682-1725)의 야심찬 계획 아래 만들어진 결과물이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바로크 양식 건물들은 순 신고전주의 양식(Pure neoclassical styles)의 건물들과도 이색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건축물들 중 일부는 러시아의 10월 혁명(October Revolution)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김구

김구

한국의 정치가·독립운동가. 상하이[上海]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 조직에 참여하고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에 선임되었다. 신민회, 한인애국단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출생과 동학입교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호 백범(白凡), 아명 창암(昌岩), 본명 창수(昌洙)였으나 구(九)로 개명, 법명 원종(圓宗), 초호 연하(蓮下)이다. 황해도 해주에서 출생했다. 15세 때 한학자 정문재(鄭文哉)에게서 한학을 배웠고, 1893년 동학(東學)에 입교하여 접주(接主)가 되고 이듬해 팔봉도소접주(八峯都所接主)에 임명되어 해주에서 동학농민운동을 지휘하다가 일본군에게 쫓겨 1895년 만주로 피신하여 김이언(金利彦)의 의병단에 가입하였다. 이듬해 귀국하여 안악으로 돌아가던 길에 치하포(鴟河浦)에 머무르다가 일본인 쓰치다[土田讓亮]가 조선인으로 변장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그를 죽이고 그의 시체를 강에 버렸다. 김구는 고향으로 돌아가 머무르고 있다가 해주 감영으로 체포되었다. 그 후 인천으로 압송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고종의 특사로 집행이 중지됐다. 복역 중 1898년 탈옥하여 공주 마곡사(麻谷寺)의 승려가 되었다가 이듬해 환속(還俗), 1903년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09년 황해도 안악의 양산학교 교사로 있다가 이듬해 신민회(新民會)에 참가하고, 1911년 '안악사건'으로 체포되어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복역 중 인천에서 항만 건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