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푸이

푸이

중국 청(淸)의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宣統帝). 1908년 3살의 나이로 청의 12대 황제가 되었지만 1912년 신해혁명으로 퇴위했다. 1934년 일본에 의해 만주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일본의 패전으로 소련에 체포되었다가 중국으로 송환되었다. 푸이[溥儀]는 중국 청의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의 이름이다. 본래 이름은 '아이신줴뤄 푸이[愛新覺羅 簿儀]'이며, 광서제(光緖帝)의 이복동생인 순친왕(醇親王) 재풍(載豊)의 아들이다. 1908년 10월 서태후(西太后)는 동치제(同治帝)와 광서제의 뒤를 잇기 위해 푸이에게 제위를 잇게 하겠다는 교서를 발표했고, 그해 11월 14일 광서제가 죽자 푸이는 3살의 나이로 청의 12대 황제가 되었다. 연호는 '선통(宣統)'이라 했으며, 아버지인 순친왕과 광서제의 황후인 융유황태후(隆裕皇太后)가 섭정했다. 순친왕은 황족이 절대 다수로 구성된 내각을 구성하여 황족 중심의 집권화를 도모했다. 1911년 신해혁명이 일어났고, 혁명의 진압 과정에서 위안스카이[袁世凱]가 청 조정의 정치와 군사의 실권을 장악했다. 위안스카이는 난징[南京]에 쑨원[孫文]을 임시대총통으로 하여 수립된 중화민국(中華民國) 임시정부와 협상을 진행했다. 그리고 청을 물러나게 하고 공화정을 선포하는 대신 총통 자리를 물려준다는 쑨원의 약속을 받고, 북부의 군벌들을 동원해 공화정을 선포하도록청 왕조를 압박했다. 결국 1912년 2월 12일 융유황태후가 푸이를 대신해 퇴위 조서를 반포했고, 3월 10일 위안스카이가 베이징[北京]에서 중화민국 제2대 임시대총통으로 취임했다. 이로써 청 왕조는 멸망했고, 푸이는 중국의 마지막 황제가 되었다. 푸이는 퇴위 후에도 쯔진청[紫禁城]에

깽까리

깽까리

타이에서 고기에 감자, 양파 등의 채소와 향신료, 카레 페이스트 등을 첨가하여 만든 노란색의 카레 요리. 고기, 채소,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만든 노란색의 카레이다. 타이의 전형적인 카레 요리로 부드러우면서 풍부한 맛이 난다. 타이어로 ‘깽(แกง)’은 태국식 카레를 의미하며, 까리(กะหร)는 인도식 카레 파우더를 첨가하여 만든 인도식 카레를 의미한다. 깽까리는 닭고기를 첨가하여 만드는 경우가 많아, 타이어로 닭을 뜻하는 ‘까이(กาหล)’를 붙여, ‘깽까리까이(แกงกะหรี่ไก่)’라고도 한다. 요리에는 인도식 카레의 주원료인 터메릭이 사용되며 오리고기, 두부, 새우, 생선 혹은 다양한 종류의 채소 등을 첨가하여 만들 수 있다. 조리법 절구에 양강근, 레몬그라스, 마늘, 실란트로, 터메릭, 홍고추, 카피르 라임 리프, 커민, 코리앤더, 파프리카 가루, 정향, 시나몬, 고춧가루, 코코넛 슈거, 코코넛 밀크, 까삐, 남쁠라, 베지터블 오일을 넣고 잘 빻아 카레 페이스트를 만든다.  닭고기는 작은 조각으로 잘라 놓는다. 냄비에 코코넛 밀크와 물을 넣어 끓이다가 카레 페이스트, 코코넛 슈거, 남쁠라를 넣고 한번 더 끓인다. 내용물이 잘 섞이면 닭고기 조각을 넣고 불을 줄인 뒤 약 30분간 조리한다. 코코넛 밀크와

모데나의 대성당, 토레 치비카, 피아차 그란데

모데나의 대성당, 토레 치비카, 피아차 그란데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Emilia-Romagna) 주(州)에 위치한 도시 모데나(Modena)에 있는 대성당과 종탑, 광장이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탈리아 북부의 에밀리아로마냐 주(州)에 있는 도시로 중세의 종교·건축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도시의 중앙 광장인 피아차 그란데(Piazza Grande)에는 모데나 대성당과 그에 딸린 종탑인 토레 치비카(Torre Civica)가 자리잡고 있다. 모데나 대성당을 중심으로한 도시의 주요 유적이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모데나 대성당은 유럽에서 가장 빼어난 로마네스크 양식 종교 건축물 가운데 하나로 꼽히며 고딕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이 가미되어 있다. 본래 이곳에 있었던 두 교회가 파괴된 이후 11-12세기 이탈리아 북부에서 막강한 권력을 가진 여성이었던 토스카나의 마틸다 백작 부인의 후원을 받아 1099년에 건설을 시작하였다. 유명 건축가였던 란프란코(Lanfranco)와 빌리겔무스(Wiligelmus)가 건축에 참여 하였으며 1184년에 봉헌식이 거행 되었고 1322년에 완공되었다. 대성당의 외벽은 흰색 대리석으로 되어 있으나 건축 당시 로마 시대에 이 자리에 있다가 파괴된 교회의 잔해를 섞어 사용 하였기 때문에 종종 붉은 색이나 회색 돌이 섞여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교회의 내 외부 벽면에는 다양한 성경 구절을 표현한 부조 작품들이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있으며 1719년과 1934년에 제작된 파이프 오르간이

슬라이드 바로가기
방정환

방정환

아동문학의 보급과 아동보호운동의 선구자인 아동문학가. 한국 최초의 순수 아동잡지 《어린이》 등의 창간을 비롯 잡지를 편집·발간했다. 창작뿐 아니라 번역 ·번안 동화와 수필과 평론을 통해 아동문학의 보급과 아동보호운동을 하였다. 호는 소파(小波)이며 서울 출생이다. 선린상업학교를 중퇴하고 17세에 조선총독부 토지조사국에 취직했다가 곧 사직하였다. 이후 천도교청년회, 개벽사, 천도교소년회 등과 관련을 맺었다. 1917년 손병희의 딸 손용희와 결혼하여 손병희에게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청년문학단체인 '청년구락부'를 조직하면서 어린이운동에 관심을 보였고, 이어 천도교에서 운영하는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에 입학했다. 1920년 일본 도쿄의 도요[東洋]대학에서 철학과에 입학, 아동예술과 아동심리학을 연구했다. 1921년 서울로 돌아와 천도교소년회를 만들고 어린이들에 대한 부모의 각성을 촉구하기 위해 전국을 돌며 강연을 했다. 또한 '어린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만들어 늙은이, 젊은이와 대등하게 격상시켰으며, 어린이 동화집도 냈다. 한국 최초의 순수 아동잡지 《어린이》(1923)를 창간하고 최초의 아동문화운동 단체인 색동회를 조직하여 그 해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지정했다. 또한 《신청년(新靑年)》 《신여성(新女性)》 《학생(學生)》 등의 잡지를 편집 ·발간하기도 했다.  그는 동화구연대회, 소년문제 강연회, 아동예술 강습회, 소년지도자대회 등을 주재하여 계몽운동과 아동문화운동에 앞장섰다. 창작동화뿐만 아니라 많은 번역 ·번안 동화와 수필과 평론을 통해 아동문학의 보급과 아동보호운동을 하였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