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아시리아

아시리아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에서 티그리스강 상류를 중심으로 번성한 고대 국가로서, 그 명칭은 중심 도시였던 아수르(Assur) 시(市)에서 유래했다. 1932년 영국의 고고학자 맥스 말로완 경이 니네베(Nineveh) 지역의 지층을 조사하다가 BC 5000년 경에 인류가 거주했던 흔적을 발굴하면서 아시리아 제국시대가 밝혀졌다. 그 후 신석기시대 이후의 문화도 점차 밝혀지고 있다. 당시의 신석기 문화의 중심지는 하수나, 하라프, 사마라였으며, 이 중 하수나(Hassuna)가 고대 아시리아 문화의 중심지로 밝혀졌다. 당시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세력은 수메르, 아카드 세력이었다. 이 중 BC 3000년 경부터 메소포타미아의 발전을 선도했던 수메르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심 도시 아수르가 건설되었고, 이 곳을 중심으로 수메르와 셈족 계통의 아카드인이 세력을 확장하고자 정복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아시리아는 수메르어로는 수바르(Subar), 아카드어로는 수바르투(Subar-tu)라고 불렸으며, 셈족 계통은 아니었다. 그러나 수메르, 아카드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언어, 풍습, 신앙 등이 셈화(化)하였으며, 오랜 기간동안 양 강대국의 침입을 받으며 강건하고 용감한 민족성을 지니게 되었다. 아시리아의 역사는 크게 BC 20 ~15 세기의 초기, BC 15 ~10세기의 중기, BC 911 년 ~ BC 612년의 신-아시리아의 세 시기로 구분된다. 수메르가 멸망기에 접어든 BC 2000년대 초 무렵의 출토품에 쓰인 아시리아어가 아카드어 혹은 수메르어와 전혀 다른

우베다·바에사의 르네상스 기념물군

우베다·바에사의 르네상스 기념물군

스페인의 남부 지방 하엔 주의 두 도시 우베다와 바에자에 위치한 세계유산이다. 두 도시 모두 중세 동안 무어인의 도시로 발달했으며, 이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아 다시 한번 크게 성장하였다. 긴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16세기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진 건축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200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스페인의 남부 지방인 안달루시아 자치지구(Autonomous Community of Andalusia)의 하엔 주(Province of Jaen)에 자리 잡고 있다. 정확한 위치는 하엔 주의 두 도시 우베다(Ubeda)와 바에자(Baeza)이다. 스페인 남부 도시 우베다와 바에자는 9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형성되었다. 9세기에는 이슬람교도인 무어인(Moor)들에 의해 도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13세기 이슬람교도들을 상대로 기독교 국가들이 벌인 전쟁이 빈번했던 레콩키스타(Reconquista, 국토회복운동) 시기에는 거의 완전한 도시 구조를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16세기에는 유럽에 크게 유행했던 르네상스의 흐름을 타고 두 도시 모두 대대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탈리아의 인문주의 사고방식이 에스파냐(스페인)까지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처럼 비슷한 역사와 외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베다와 바에자는 에스파냐의 쌍둥이 도시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16세기 두 도시에는 르네상스 양식의 건축물들이 많이 지어졌다. 하지만 그것은 이탈리아 본토의 르네상스 양식과는 차이가 있었다. 에스파냐 문화와 뒤섞인 새로운 르네상스 양식이 탄생했던 것이다. 이후 이 새로운 에스파냐

슬라이드 바로가기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월정사에 있는 8각 9층석탑.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15.2m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오대산 월정사 경내에 있는 9층석탑으로, 석탑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보살상이 마주 앉아 있다. 이 석탑은 우리나라 북쪽 지방에 주로 유행했던 다각다층석탑의 하나로 고려 초기 석탑을 대표하는 것이다.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2중 기단으로 지대석은 1단의 받침이 있어 하층 중석(中石)을 받치고 있다. 각 면에는 1면 2개씩의 안상(眼象)이 조각되었으며 갑석(甲石)은 복련(覆蓮:아래로 향한 연꽃)으로 덮고, 그 위의 상층 면석을 받치는 받침돌이 있다. 탑신부는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갑석 위에 탑신을 괴는 받침돌이 1매 있어 첫층 옥신(屋身)을 받치는데, 8면에 1면씩을 건너뛰어 4개면에 작은 규모의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마련해 두었다. 각 층의 옥개석은 간략하게 마무리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살짝 들린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아 놓았다. 추녀는 수평이며 처마 면에 낙수홈이 음각되었고, 상륜부는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아 있다. 노반, 복발, 앙화, 보륜은 석제이나 나머지는 금동제로서 보개, 수연, 보주 등이 완전하다.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