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렘브란트 판 레인

렘브란트 판 레인

네덜란드의 화가. 그의 회화가 성숙함에 따라 외면적인 유사성보다는 오히려 내면적인 것, 인간성의 깊이를 그리고 싶은 생각이 절실해지면서 종교적(또는 신화적) 소재나 자화상을 많이 그렸다. 유화와 에칭에서 유럽 회화사상 최대 화가의 한 사람으로 꼽을 수 있다. 1606년 7월 15일 조이트홀라드주 레이덴에서 출생하였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함께 17세기 유럽 회화사상 최대의 화가이다. 제분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4세 때 레이덴대학교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어릴 때부터 미술에 소질을 보였기 때문에 레이덴의 화가인 야콥 반 스바넨부르크에게 배우고, 이어 암스테르담에 나와 P.라스트만의 문하에 들어갔다. 1624년 레이덴으로 돌아와 이듬해부터 독립하여 아틀리에를 열었다. 1632년까지 완전한 독학으로 친척, 이웃노인, 성서에서 소재를 얻어 꾸준히 그림을 그렸다. 그의 노력이 열매를 맺어 1632년 암스테르담 의사조합으로부터 위촉받은 《툴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의 호평을 계기로 암스테르담에 정착하였다. 그 후 약 10년간은 생활이나 명성에 있어서도 가장 혜택받은 시기였다. 1634년 명문가문의 딸 사스키아 판 오이렌부르흐와 혼인하여 당시의 세계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암스테르담에서 첫째 가는 초상화가로서 명성을 얻어 많은 수입과 제자를 모았다. 그러나 그의 회화가 성숙함에 따라 당시의 일반적 기호였던 평면적인 초상화 등에 만족할 수 없게 되어 외면적인 유사성보다는 오히려 내면적인 것, 인간성의 깊이를 그리고 싶은 생각이 절실해지면서 종교적(또는 신화적) 소재나 자화상이 많아졌다. 따라서 1642년의 명작 《야경(夜警)》의 제작을 고비로 갑자기 세속적 명성에서 멀어졌다. 이 작품은

송편

송편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알맞은 크기로 떼어 거기에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어 솔잎을 깔고 찐 떡. 송편은 본래 추석 때 햅쌀과 햇곡식으로 오려송편(추석에 햇곡식으로 빚은 것)을 빚어 한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조상의 차례상 등에 바치던 명절떡이었는데, 요즈음에는 계절과 관계없이 만들어 먹는다. 솔잎과 함께 떡을 찌기 때문에 송병(松餠) 또는 송엽병(松葉餠)이라고도 부른다. 소는 깨 ·팥 ·콩 ·녹두 ·밤 등이 사용되어 소로 무엇을 넣느냐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고 소를 준비하는 절차 또한 재료에 따라 다르다. 지역에 따라서도 재료와 모양에 차이를 보이는데, 서울과 경기에서는 오미자, 치자, 쑥 등으로 다양한 색을 낸 오색송편을, 강원도에서는 감자녹말을 사용한 감자송편을, 충청도에서는 호박으로 반죽한 호박송편을, 전라도에서는 모시잎을 넣어 반죽한 모시송편을, 경상도에서는 칡가루를 섞어 반죽한 투박하고 큼직한 모양의 칡송편을, 제주도에서는 완두콩으로 소를 넣어 만든 비행접시 모양의 송편을 만들어 먹는다. 유래 송편의 반달 모양에 관해서는 다양한 유래가 존재한다. 《삼국사기》의 백제본기에서는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 때 궁궐 땅속에서 발견된 거북이 한 마리에 관한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 거북이의 등껍질에는 ‘백제는 만월, 신라는 초승달’이라고 쓰여있었고, 왕이 무당을 불러 그 뜻을 묻자, 무당은 백제는 꽉 찬 만월이라 이제부터 기울 것이고, 신라는 초승달이라 앞으로 점점 커져 만월이 될 것이라 하였다. 이에 왕이 노하자 어떤 이가

쿠로니아 모래톱

쿠로니아 모래톱

리투아니아와 러시아 두 국가에 걸쳐져 있는 모래톱이다. 클라이페다에서 52km이르는 지역은 리투아니아에, 삼비아 반도에 이르는 나머지 46km는 러시아에 속해있다.2000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었다. 발트해(Baltic Sea) 연안에 위치한 리투아니아(Lithuania)와 러시아(Russia) 두 국가에 속해 있는 세계유산이다. 쿠로니아 모래톱(Curonian Spit)은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주(Klaipeda Region)의 네링가(Neringa)와 클라이페다(Klaipeda) 사이의 지역뿐 아니라 러시아 칼리닐그라드 주(Kaliningrad Region)의 제레노그라드스크(Zelenogradsk) 지방까지 뻗쳐 있다.  총 길이 98km에 이르는 긴 모래언덕으로, 너비는 위치에 따라 400m에서 3,800m까지 다양하다. 이 쿠로니아 모래톱을 경계로 리투아니아와 러시아를 모두 접하고 있는 크로니안 석호(Curonian Lagoon)가 발트 해(Baltic Sea)와 분리된다. 리투아니아의 항구 도시 클라페이다와 러시아의 삼비아(Sambia) 반도가 모래톱의 양끝이다. 모래톱의 52km는 리투아니아에 속해있으며 나머지 46km는 러시아에 속해있다.  쿠로니아 모래톱은 선사시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했다. 형성 당시 바람과 파도에 의해 모래톱은 생성과 사라짐을 반복했다. 하지만 그곳에 거주를 시작한 인간들은 모래톱을 보수하고 나무를 다시 심어 그 삶의 터전을 지켜나갔다. 그러한 노력

슬라이드 바로가기
추석

추석

우리나라의 대표적 명절 가운데 하나로 음력 8월 15일. 중추절(仲秋節)·가배(嘉俳)·가위·한가위라고도 부른다. 중추절(仲秋節)이라 하는 것도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3달로 나누어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역사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三國史記)》 유리이사금 조에 의하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누었는데 왕녀 2인이 각 부의 여자들을 통솔하여 무리를 만들고 7월 16일부터 매일 일찍 모여서 길쌈, 적마(績麻)를 늦도록 하였다. 8월 15일에 이르러서는 그 성과의 많고 적음을 살펴 진 쪽에서 술과 음식을 내놓아 승자를 축하하고 가무를 하며 각종 놀이를 하였는데 이것을 가배(嘉俳)라 하였다. 이 때 부른 노래가 슬프고 아름다워 회소곡(會蘇曲)이라고 하였는데, 이 행사를 가배라 부른 것은 여러 의미가 있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본다. 즉 음력 8월 15일은 대표적인 우리의 만월 명절이므로 이것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다음은 진 편에서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게 되므로 ‘갚는다’는 뜻에서 나왔을 것으로도 유추된다. 고려시대에 나온 노래인 《동동》에도 이 날을 가배라 적었음을 보아 이 명칭은 지속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가윗날이 신라 이래 국속으로 지속되었음은 중국에서 나온 《수서(隋書)》 동이전 신라 조에 임금이 이 날 음악을 베풀고 신하들로 하여금 활을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