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메인 주요 글

주요 아티클

마틴 루터 킹

마틴 루터 킹

미국의 침례교회 목사이자 흑인해방운동가. 1968년 암살당하기까지 비폭력주의에 입각한 '공민권 운동'의 지도자로 활약했다.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투쟁'을 이끌었으며 남부 그리스도교도 지도회의(SCLC)를 결성했다. 1964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미국의 흑인해방운동 지도자. 조지아주(州) 애틀랜타 출생. 침례교회 목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8년 모어하우스대학 및 펜실베이니아주(州) 체스터의 크로저신학교를 졸업했다. 그 동안에 비폭력 저항과 인종차별 철폐 및 식민지 해방과 사해동포론(四海同胞論) 등을 주창한 간디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이어 보스턴대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1954년 앨라배마주(州) 몽고메리의 침례교회 목사로 취임하였다. 재직 2년째인 1955년 12월, 시내버스의 흑인 차별대우에 반대하여 5만의 흑인 시민이 벌인,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투쟁’을 지도하여 1년 후인 1956년 12월에 승리를 거두었다. 그 직후 남부 그리스도교도 지도회의(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SCLC)를 결성하고, 1968년 4월 테네시주(州)의 멤피스시(市)에서 흑인 청소부의 파업을 지원하다가 암살당하기까지, 비폭력주의에 입각하여 흑인이 백인과 동등한 시민권을 얻어내기 위한 ‘공민권 운동’(1963년의 워싱턴 대행진 등)의 지도자로 활약하였다. 1964년에는 이러한 공로가 인정되어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주요 저서에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투쟁에 관하여 쓴 《자유를 향한 위대한 행진》(1958) 외에도 《우리 흑인은 왜 기다릴 수 없는가 Why We Can’t Wait》(19

파타타스 피칸테스

파타타스 피칸테스

구운 감자에 칠리 고추, 훈제한 파프리카 가루 등을 첨가하여 만든 스페인의 요리이다. 구운 감자를 주재료로 하여 칠리 고추, 훈제한 파프리카 가루 등을 첨가하여 만든 매콤한 맛의 스페인 감자 요리이다. 스페인어로 ‘파타타(patata)’는 ‘감자‘를, ‘피칸테(picante)’는 ‘매운, 톡톡 쏘는’을 의미한다. 감자는 ‘파파(papa)’라고도 부르므로, ‘파파스 피칸테스(Papas picantes)’라고도 한다. 파타타스 피칸테스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먹을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칠리 고추, 훈제한 파프리카 가루, 마늘 등을 구운 감자 위에 뿌려 먹는 것이다. 두 번째는 칠리 고추, 훈제한 파프리카 가루, 마늘, 양파, 핫소스 등을 첨가하여 끓여낸 소스를 구운 감자 위에 가볍게 곁들여 먹는 방식이 있다. 조리법 감자는 깨끗하게 씻어 놓는다. 냄비에 물, 소금을 넣어 끓이다 감자를 넣어 약 15분간 삶아낸다. 감자가 부드러워지면 꺼내서 껍질을 벗긴 뒤, 작은 크기로 잘라 놓는다.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른 뒤, 감자를 넣어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건조한 칠리 고추는 씨를 제거하여 잘게 다져 놓는다. 마늘은 잘게 다져 놓는다. 팬에 다진 양파, 다진 마늘을 넣어 볶다가 토마토 소스, 화이트 와인, 파슬리, 다진 칠리 고추, 핫 소스, 소금, 후추를 넣어 약 20분간 저어주며 끓여낸다. 구운 감자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과 수도원 건물들,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과 수도원 건물들,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있는 역사 유적지이다. 성 소피아 성당, 페체르스카야 수도원 등 중요한 건축물이 남아있다. 1990년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고, 2005년 범위를 확장하였다.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에 있는 도시로 옛 시가지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적들이 남아있다. 1037년에 건립된 성 소피아 대성당은 중세 러시아를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비잔틴 양식으로 세워진 후, 1685∼1707년 바로크 양식으로 개축하였다. 내부는 프레스코화와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다. 18세기 후반 세운 종루는 바로크 양식에 우크라이나 전통 양식이 더해져 독특하게 장식되었다.  페체르스카야 수도원은 고지대의 동굴 수도원이다. 근동굴(近洞窟) 수도원과 원동굴(遠洞窟) 수도원으로 나누어져 있다. 11세기 중엽 드니프로강 기슭 언덕 동굴에서 수행을 시작한 수도사들이 만든 동굴로, 좁은 통로로 동굴끼리 이어진다. 몽골과 타타르족의 침입으로 크게 파손되었으며,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축되었다. 18세기 초에 높이 6.5m의 종탑이 건설되었다.  수도원 입구에는 12세기 초에 건설된 트로이츠카야 성당이 있다. 18세기에 바로크 양식으로 정비되었으며, 18세기 우크라이나의 바로크 양식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평가받는다. 페체르스카야 수도원에서 가장 오래된 우스펜스키 성당은 중세 러시아와 비잔틴 양식이 섞여있다. 1926년에 ‘소비에트 연방 역사 문화 보호구’로 지정되었다. 

슬라이드 바로가기
수원 화성

수원 화성

1796년 정조가 그의 아버지의 묘를 수원으로 옮기면서 축조한 성.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축성 당시 원형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수원 화성은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뒤주 속에서 불운하게 세상을 떠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풍수지리학상 명당 자리인 화산으로 이전하고 그 부근 주민들을 팔달산 아래 현재 수원으로 옮기면서 축성되었다.  또한 화성은 임진왜란을 겪으며 그 필요를 절감한 수도 서울의 남쪽 방어기지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당쟁이 극심했던 정세를 쇄신하고 강력한 왕도정치를 실현하려는 정조 자신의 원대한 구상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계획적 신도시로 건설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극진한 효심을 기반으로 군사, 정치, 행정적 목적까지 모두 충족시켜야 하는 화성의 건설에 당대 동서양의 과학과 기술의 성과가 총결집되었고, 단원 김홍도를 비롯한 예술가들, 번암 채제공과 실학의 거두 정약용을 포함한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이 참여했다. 그 결과 화성은 근대 초기 성곽건축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다.  성벽의 외측을 쌓되 내측은 자연의 지세를 이용해 흙을 돋우어 메우는 외축내탁의 축성술, 실학사상의 영향을 받아 화강석과 벽돌을 함께 축성의 재료로 사용한 전석교축,

슬라이드 바로가기

포토커뮤니티

지구촌 여행기